대학 홍보용 브로셔(brochure)의 편집디자인 분야에서 다양성과 통일성을 고려한 그리드 시스템(grid system) 사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Girl System use with unity and diversity in the field of Editorial Design for the University Advertising Brochur

  • 송진아 (인제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
  • 최인규 (인제대학교 디자인학부)
  • 발행 : 2002.05.01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들에 대한 입학 홍보를 위해 제작된 브로셔의 편집디자인에 대해 연구하려는 것이다. 대학 홍보용 브로셔의 역할과 기능이 편집디자인의 측면에서 설명 되었는 바, 특별한 관심이 브로셔의 편집디자인에서 큰 주의를 요해야 하는 그리드 시스템에 주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그리드 시스템에 따라 단일 그리드 시스템, 멀티 그리드 시스템, 비 그리드 시스템 등의 세 범주로 나누어 각 대학의 브로셔의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그리드 시스템을 사용한 브로셔들이 그렇지 않은 것보다 더 효과적이었음이 발견되었는데, 특히 내용전달과 디자인 측면에서 그러하였다. 따라서 그리드 시스템은 현재 대학 홍보용 브로셔의 편집디자인과정 에서 매우 결정적인 도구가 분명하다는 점이 증명되었다. 그리드 시스템의 사용기준에 대한 제안 역시 편집디자인의 레이아웃의 통일성과 다양성을 위해 제시되었다. 그래서 본 연구는 내용의 표현에 있어 균형과 디자인의 예술적 구조를 포함한 그리드 시스템의 가능한 발전과 더불어 이러한 주요 핵심원리에까지 확대되었다. 덧붙여 대학 홍보용 브로셔의 창조적인 적용을 위해 그리드 시스템과 시각재료 사이의 관련성이 본 연구의 마지막 결과로 설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itorial design of the advertising brochure in relation to the promotion of entering college freshmen.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brochure promoting universities have been explained in terms of the editorial design. The special regard is paid to the Grid-system that must be handled with the greatest possible care in editorial design of brochures. In this study, it has not only divided into the three categories (Single Grid-system, Multiple Grid-system and Non-Grid-system) according to the Grid-system, and but also analyzed each case of the modeled college brochure. In the analyses, it is found that the using Grid-system brochures are much more effective than that of the lesser using Grid-system, especia1ly in the communication and design. Therefore, the Grid-system is shown to be crucial tool in the current design process of the college brochures. The suggestion of the using criterion of the Grid-system has also been made for the unity as well as diversity of layout in the editorial design. The study then extends this core object principle with the possible development of the Grid-system that includes the balance of the expression of the contents and the artistic structure of design. Additio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id-system and the visual materials for the creative application to the brochure promoting the universities is presented as the final result of this stud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