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IES ACTIVITY FACTORS OF CHILDREN IN ORTHODONTIC TREATMENT

교정치료를 받는 어린이의 우식활성요인에 대한 연구

  • Lee, Kwang-He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Dental Research Institute, Wonkwang University)
  • 이광희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2.11.30

Abstract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ries activity factors of children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Fifty children with fixed or removable intraoral orthodontic appliances were examined for their Cariostat caries activity test scores, gender, age, duration of treatment, appliance type, treatment site, Angle's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and the number of teeth with caries experience. The mean age of the high caries activity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low caries activity group(P<0.01). The duration of treatment of the high caries activity group was longer than that of the low caries activity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P>0.05). The fixed appliance group showed higher caries activity than the removable appliance group(P<0.01). The caries activity of Angle Class III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Angle Class I group,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P>0.05). The number of teeth with caries experience in the high caries activity group was lower than that in the low caries activity group,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P>0.05).

교정치료를 받는 어린이들의 우식활성에 관여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고정성 및 가철성 교정장치를 구강에 장착하고 있는 어린이 50명을 대상으로 Cariostat 우식활성검사를 실시하고 우식활성요인으로서 성별, 연령, 교정장치 장착기간, 장치의 종류, 장치를 장착한 부위, Angle씨 부정교합 분류, 우식경험치 수 등의 요인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의 Cariostat 검사성적은 0점과 3점이 각각 1명(2%)씩 있었고 1점이 22명(44%), 2점이 26명(52%)이었다. 저우식활성군의 평균 연령은 9.96세 고우식활성군의 평균 연령은 11.56세로서 두 군간의 차이가 유의하였다(P<0.01). 구강내 교정장치 장착기간은 저우식활성군이 16.13개월, 고우식활성군이 20.48개월로서 고우식활성군의 장착기간이 길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가철성 장치만 장착한 경우에 비해 고정성 장치를 장착한 경우에서 우식활성이 더 높았다(P<0.01). 상악에만 장착한 경우에 비해 상악과 하악에 다 장착한 경우에서 우식활성이 더 높은 분포를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Angle씨 I 급 부정교합의 경우에 우식활성이 높고 III 급 부정교합의 경우에 우식활성이 낮은 분포를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우식경험치 수는 저우식활성군이 1.83개, 고우식활성군이 1.41개이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고(P>0.05) 전체 평균은 1.60개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