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포머와 유치 상아질의 결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NDING OF COMPOMER TO DECIDUOUS DENTIN

  • 김지태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 교실) ;
  • 김용기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 교실) ;
  • 김종수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 교실) ;
  • 권순원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 교실)
  • Kim, Jee-Ta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Graduate School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Kim, Yong-Ke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Graduate School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Kim, Jong-So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Graduate School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Kwon, Soon-W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Graduate School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발행 : 2002.11.30

초록

치과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심미성 접착 수복재료인 복합 레진과 글라스 아이어노머 시멘트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것으로 알려진 컴포머의 유치 상아질에 대한 결합력을 평가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치아 교환을 이유로 최근에 발거된 유구치 144개를 실험대상 치아로 선정하였으며, 이 중 120개의 치아는 전단강도 측정실험을 위하여 나머지 24개는 결합계면의 주사전자 현미경 관찰을 위해 무작위로 배분하였다. 각 치아마다 $3{\times}4mm$의 상아질을 노출시킨 후 내경 2.6mm, 높이 2.0mm의 크기로 제작된 폴리에틸렌 주형을 상아질 표면에 고정시킨 다음 각각의 재료를 설정 조건에 따라 충전하였다. 전단강도 실험표본은 만능 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주사 전자현미경 관찰 표본 중 1/2은 다시 근원심으로 절단하여 그 결합계면을 관찰하였으며 나머지 1/2은 치아를 완전 탈회시킨 후 상아질 내에 침투된 접착제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모든 컴포머 군($II{\sim}V$)의 전단강도가 글라스 아이어노머 군(I)보다 높게 나타났고, 산 부식을 시행한 컴포머 군(III, V)이 산 부식을 시행하지 않고 충전한 컴포머 군(II, IV)에 비해 높은 전단강도를 보였으며(p<.05) 복합 레진 군(VI)과의 비교에서도 통계학적인 유의차가 없었다(p>.05). 서로 다른 접착제를 사용한 컴포머군 간의 비교에서는 모두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아질-수복재 계면의 관찰 결과, 산 부식 처리된 상아질과 결합된 컴포머 군이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다소 두꺼운 혼화층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었고 레진 돌기도 더욱 치밀하게 침투한 양상을 보였다. 주사 현미경 관찰에서는 산부식 하지 않은 컴포머 군이 전반적으로 짧고 얇은 레진 태그가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있는 양상을 보인 반면, 산부식을 시행한 군과 복합 레진 군에서는 굵고 긴 레진 태그들이 규칙적이며 치밀한 분포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상아질의 산 부식 과정이 컴포머의 결합력 증진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한 반면 상아질 접착제의 종류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합강도의 비교에서 컴포머가 글라스 아이어노머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소아 환자의 유구치 심미 수복재료로서의 가능성이 입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onding of compomer to deciduous dentin which is known to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weak properties of glass ionomer cement and composite resin. 120 sound primary molars were used for the shear bond strength test and another 24 fo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evaluation. Each material was ailed into polyethylene mold attached to exposed dentinal surface($3{\times}4mm$ in diameter) of sample blocks. Shearbond strength was measured using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with Oneway-ANOVA and Scheffe test.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was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pattern of distribution and penetration of resin tags and hybrid layer. Compomer groups(II-V)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ond strength values than glass ionomer group(I)(p<.05). Etching-compomer groups(III, V) showed the significantly higher bond strength than non-etching compomer groups(II, IV)(p<.05), but slightly lower values than composite resin group(VI)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No significantly different bond strength was found between compomer groups of different bonding system(p>.05).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showed more irregular distribution of short and thin resin tags in non-etching compomer groups(II, IV) whereas the more regular and intimate distribution of long and thick tags in etching compomer groups(III, V) and composite resin group(VI). The evaluation of hybrid layer also showed more regular formation of thicker layer in etching compomer groups(III, V). Based on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the use of compomer as an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 for primary molars might be justifi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