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OF BILATERAL DENTIGEROUS CYSTS TREATED BY MARSUPIALIZATION

양측에서 발생된 함치성 낭종의 치험례

  • Yoo, Jung-E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Hee University) ;
  • Choi, Yeong-Chul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Hee University) ;
  • Lee, Keu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Hee University)
  • 유정은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치과) ;
  • 최영철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치과) ;
  • 이긍호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치과)
  • Published : 2002.05.31

Abstract

Most dentigerous cysts are solitary. Bilateral and multiple dentigerous cysts are rare and occur typically in association with a number of syndromes such as Maroteaux-Lamy syndrome, Hunter's syndrome, Basal cell nevus syndrome, Marfan syndrome, cleidocranial dysplasia. The presented case is of bilateral nonsyndromic, dentigerous cysts associated with mandibular right and left first premolars. A marsupialization procedure may be a choice of treatment for a large sized dentigerous cyst rather than an enucleation. The marsupialization procedure is recommended during the age when the erupting force of the teeth is still strong. We can expect the unerupted tooth to erupt normally. Although most of bilateral or multiple dentigerous cysts which are not associated with syndromes are rare, a bilateral dentigerous cyst without syndrome is seen. Therefore, it is wise to explain a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new one to patient / parents in advance.

함치성 낭종은 흔한 발육성 낭종이지만 양측성 함치성 낭종은 극히 드물다. 양측성 또는 다발성 함치성 낭종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syndrome과 연관된다. 본 증례는 특별한 전신질환이나 syndrome이 없이 5세 3개월에 하악 우측 제 1소구치에서, 이후 7세 6개월에 하악 좌측 제 1소구치에서 함치성 낭종이 발생하였으며, 조대술을 시행한 후, 환아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관찰 및 치료에서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낭종의 크기가 큰 경우의 치료 방법으로 적출술보다 조대술이 선택될 수 있다. 2. 조대술은 치아의 맹출력이 있는 연령에 발생된 함치성 낭종에서 dentoalveolar structure를 가능한 보존하고, 낭종에 이환된 치아의 맹출을 기대하는 목적으로 이용된다. 3. 양측성 또는 다발성 함치성 낭종은 다양한 syndrome과 함께 발견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증례는 syndrome과의 연관성 없이 하악 우측과 좌측 소구치부에서 함치성 낭종이 발생되었으며, 향후 또 발생할 가능성에 대하여 환자 및 보호자에게 사전에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