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der Difference in Self-Employment Rates In Korea

남녀간 자영업 비중의 격차 분석

  • Kim, Woo-Yung (Department of Economic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김우영 (공주대학교 경제통상학부)
  • Received : 2001.03.13
  • Accepted : 2001.06.01
  • Published : 2001.06.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male-female difference in self-employment rates in Korea using panel data constructed from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in 1999. Given that most studies on self-employment have focused on male self-employment and have not examined why self-employment rate is usually higher among males than females, this study certainly extends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is subject This study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deals with estimating self-employment rates for males and female within a Markov framework. The second part presents decomposition results of the male-female differential in self-employment rate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1) self-employment rate is higher for males than females because entry into self-employment is larger but exit from self-employment is smaller for males than female, (2) higher entry probability for males is due to differences in coefficients of transition probability functions while lower exit probability for males is due to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3) a large part of male-female gap in self-employment rates results from differences in being a head of family, marital status and age between males and females.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있어 남녀간 자영업 비중의 격차를 분석한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남성의 자영업 비중이 여성의 자영업 비중을 초과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격차가 왜 생기는지를 설명하려 한다. 또한 창업이 취업정책의 한 중요한 수단인 현 경제상황에서 여성의 자영업 비중이 왜 남성보다 낮은지에 대한 이해는 여성 취업정책을 수립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번째 부문은 남성과 여성의 자영업 비중을 추정하는 것이다. 추정방법으로 본 연구는 Markov모형을 도입한다. 두번째 부문은 남녀간 자영업 비중의 격차를 분해하는 것인데, 여기서는 자영업 비중의 분해가 임금격차의 분해와는 달리 비선형함수의 분해라는 점에서 Evert and Macpherson(1993)이 개발한 분해방법을 확장하여 사용한다. 본 연구는 (1)남성이 여성보다 자영업 비중이 높은 이유는 남성이 여성보다 자영업주가 되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많을 뿐 아니라 일단 자영업주가 되면 자영업에서 이직하는 사람도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며, (2)이행확률함수를 추정한 결과 계수의 차이는 남성의 자영업 임직을 높이고 속성의 차이는 남성의 자영업 이직을 낮추며, (3)가구주, 연령, 농가부문의 차이는 남녀 자영업 비중 격차를 확대하는 요인으로, 비자영업 형태의 차이는 남녀 자영업 비중 격차를 축소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4)자영업주의 범주에 무급가족종사자를 포함시킬 경우 남녀간 자영업 비중의 격차는 줄어드나 그 격차의 분해결과는 질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밝힌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Korea Research F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