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nstruction of April-August Precipitation in Mt. Sorak Region from Tree Rings

나무나이테를 이용한 설악산 지역의 4월~8월 총강수량 복원

  • 박원규 (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
  • 서정욱 (함부르크대 목재생물연구소) ;
  • ;
  • 김요정 (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
  • 한수원 (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 Published : 2001.06.01

Abstract

April∼August precipitation (141 years : A.D. 1858∼1998) of Mt. Sorak region (East-central Korea) was reconstructed using a tree-ring chronology of Pinus densiflora sampled from Beakdam Shelter area. During the reconstructed Periods, dry periods were 1880∼1887, 1893∼1901 and 1922∼1938, and wet one 1906∼1918. In the long-term variatio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were drier than the late 20th century. Major wet/dry periodicities in April∼August precipitation series reconstructed were 3.16 and 4.14 years, indicating that short-term variation were more prominent than long-term one.

설악산 백담산장 (해발고 400m) 지역에서 자라는 소나무를 이용하여 141년 (A.D. 1858∼1998)간의 나무나이테(연륜) 연대기를 작성하여 4월∼8월 총강수량을 복원하였다. 복원한 결과 1880∼1887년, 1893∼1901년, 1922∼1938년은 건조기로 나타났으며, 1906∼1918년은 습윤기로 나타났다. 장기간 변동으로 보았을 때, 19세기말과 20세기초는 20세기 후반기보다 건조하였다. 전기간에 걸친 가뭄주기는 4.14년과 3.16년으로 분석되어 장주기보다 단주기 변화가 우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