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ope Development of Scoria Cones in Cheju Island

제주도 스코리아콘의 사면발달

  • 현경희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 김태호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1.06.01

Abstract

Morphometric parameters such as cone height, cone height/width ratio($H_{co}$/$W_{co}$), cone height/difference between cone width and crater width ratio($H_{co}$/$W_{co-cr}$) and slope angle are measured to investigate the rates of slope development of scoria cones in Cheju Island. The parameters systematically decrease with increasing age of scoria cones, suggesting that comparative morphology of scoria cones is a useful age indicator. Cone age is most highly correlated with $H_{co}$/($W_{co-cr}$ or average slope angle because summit craters are infilled and eventually removed by erosional processes. The average slope angle is estimated as $\theta_{ave}$= $tan^{-1}$/〔2.$H_{co}$/$W_{co-cr}$〕. Cheju Island was formed through four eruptive stages during Pleistocene. The youngest cones of stage 4(0.1~0.025Ma) have a mean average slope angle of 23.6$\pm$1.7$^{\circ}$, whereas stage 3(0.3~0.1Ma) and stage 2(0.6~0.3Ma) cones have mean values of 18.9$\pm$$1.7^{\circ}C$and 12.6$\pm$$1.9^{\circ}C$, respectively.

제주도에 분포하는 스코리아콘의 사면발달을 밝히기 위하여 49개 스코리아콘을 대상으로 화산체의 비고, 저경에 대한 비고의 비율($H_{co}$/$W_{co}$), 저경과 화구경의 차에 대한 비고의 비율($H_{co}$/$W_{co-cr}$), 및 사면각등의 지형특성치를 계측하였다. 스코리아콘의 형성시기가 오래될수록 지형특성치는 일정한 비율로 감소하므로 화산체의 형태비교학적 방법에 의해 스코리아콘의 형성시기를 추정할 수 있다. 스코리아콘의 화구는 침식작용으로 메워지며 결국에는 사라지게 되므로 화산체의 형성시기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지형특성치는 저경과 화구경의 차에 대한 비고의 비율이나 평균사면각($\theta_{ave}$) 이다. 스코리아콘의 평균사면각은 $\theta$$_{ave}$ : $tan^{-1}$〔2.$H_{co}$/$W_{co-cr}$〕로서 구할 수 있다. 제주도는 플라이스토세에 네 번에 걸친 분화활동기를 통하여 형성되었다. 제4분출기(0.1~0.025Ma)에 형성된 최신의 스코리아콘은 평균사면각의 평균치가 23.6$\pm$1.7$^{\circ}$인데 비하여, 제3분출기(0.3~0.1Ma)와 제2출기(0.6~0.3Ma)의 스코리아콘은 각각 18.9$\pm$$1.7^{\circ}C$및 12.6$\pm$$1.9^{\circ}C$이다.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