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El Nino-Southern Oscillation (ENSO) on Tree Growths in Central Korea

한반도 중부지역 수목생장에 미치는 엘니뇨-남방진동(ENSO)의 영향

  • ;
  • ;
  • ;
  • N. Pumijumnong
  • Published : 2001.06.01

Abstract

To examine the effects of El Nino-Southern Oscillation (ENSO) on the tree growths of central Korea, tree rings of Korean pine(Pinus koraiensis) ,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and yew (Taxus cuspidata) were analyzed. Korean pine and red pin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4 and 7sites in Sorak Mountain ranges, respectively ; yew from one site in Sobaek Mountain. Correlations between ring-width and monthly temperature data showed generally positive relationships for the Korean pine and yew chronologies, but negative ones for the red pine chronologies. In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ring-width and monthly S0 index data, only one Korean pine chronology at the lower Hangaerung valley site, and one red pine chronology at Baekdamjang shelter site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 negative with April SOI for the former and positive with previous August-September SOI for the latter. The other chronologies at higher elevation sites did not indicate an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OI.

본 연구에서는 엘니뇨-남방진동(ENSO)이 한반도 중부지역의 수목 생장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잣나무, 소나무, 주목을 대상으로 연륜분석을 실시하였다. 잣나무와 소나무는 설악산에서 각각 4개, 7개 지역에서 채취하였으며, 주목은 소백산의 1개 지역에서 채취하였다. 연륜 생장과 월 평균기온과의 상관관계를 구한 결과, 설악산 잣나무와 소백산 주목은 대체적으로 기온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악산 소나무는 기온과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륜생장과 월별 남방진동지수(SOI)와의 상관관계를 구한 결과, 잣나무의 경우는 고도상 생육하한선인 설악산 한계령 하부 지역에서 4월 SOI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나머지 지역 잣나무는 모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소나무의 경우는 백담산장 지역에서 생육전년도 8월과 9월 SOI와 연륜생장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고지대에 자라는 지역의 소나무는 모두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다. 엘니뇨가 발생하면 중부지역의 생육하한선에 자라는 잣나무는 생장이 양호해지는 반면에 저지대에 자라는 소나무의 경우 생장이 저하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