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 영재유아 판별의 절차와 과제

  • 발행 : 2001.06.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만 6세 미만의 유아기 아동을 대상으로 영재판별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살펴보고 지적 영재성을 진단할 수 있는 세부적인 방법들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6세미만의 유아기부터 지적 영재성은 더 나이든 아동의 특성과 유사한 행동특성으로 나타난다는 것이 부모의 관찰과 연구자들의 보고에 의해 밝혀져 있다. 단지 유아기에는 아동의 현재 수행보다 앞으로 보일 수행가능성 즉 잠재성의 측정이 중요하며 특히 유아의 여러 기능들이 서로 잘 분화되지 않은 점을 감안할 때 보다 과학적이고 포괄적인 판별이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구체적인 영재유아의 판별방법은 부모나 교사의 일상행동관찰에 의한 의뢰, 영재아 행동평가지, 간편 검사 그리고 개인별 세부 검사 등을 통한 종합적인 평가와 단계적 방법이 효율적임을 주장하였다. 특히 어린 유아의 경우 발달과정에서의 변이성이 크기 때문에 반복적 평가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하는 영재판별방법들의 종류와 검사자의 자질, 실시상의 주의점을 살펴보았으며 특히 영재아의 여러 특성을 올바로 진단할 수 있는 전문가와 다양한 검사방법이 개발이 중요하다는 것을 정리하였다. 끝으로 영재판별이 영재아에 대한 최적 교육환경의 제공이라는 점에서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looked at the validity of assessments of academic giftedness in young children, details of assessment procedures and tasks related to them. It has shown that academic giftedness in young children can be reliably observed and reported by parents and teachers through similar characteristics to older gifted children. But for young preschool children since the potentiality rather than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 is more important to detect and children's abilities are not fully differentiated, mor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assessments are needed. Parents'and/or teachers' referrals, behavior checklists for the gifted, tests for creativity, short or group forms of standardized tests and finally individualized tests can be used as a comprehensive battery but these methods can be used stepwise for the sake of efficiency and economy. Especially the variability of performance in young children during the rapid developmental phase as well as their vulnerability by situational factors ask for the repeated assessments as regular bases. In this study different measures for gifted young children, specialists' qualification, and procedural guidance were reviewed and the necessity for various screening tools for different programs for the gifted was discussed. Finally it was emphasized that early assessment and following educational arrangement are needed for gifted young children for their optimal develop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