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st Environment Degradation and Rehabilitation of Copper Mine Area in Ashio, Japan

일본 아시오(足尾) 銅鑛山地域의 삼림황폐와 삼림환경 복구사업에 관한 분석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This report surveyed degradation of forest environment and rehabilitation in Ashio of Japan. Since 1880, a large scale forestry in this area has been destroyed by sooty smoke, and the local government invested heavily to rehabilitate the damaged forestry and denuded mountains. These degradations are due to complex operations, such as sulfurous acid gas from copper refinery, forest fires, steep slope and disadvantageous climate. The rehabilitation works on degraded forestry(2,399ha) were undertaken by tree planting fur three years from 1897. However, forest degradation and disasters were continued, and the total damaged areas were about 2,400~3,000ha in 1956. A Manual labor method, a Helicopter method and also Combination of manual labor and helicopter method had been adopted to rehabilitation works from 1945 to 1996, while 828.19ha of the degraded mountains was rehabilitated. Total investment for those projects was 80 billion yen. A debris control dam, a soil arresting structure, a vegetation-block, a vegetation sack measures and tree planting have implemented significantly fur the method of rehabilitation. An objective of manual labor works is a complete rehabilitation on each place through 3 stage working. The revived green areas accounted fur 49% of the total, and the entire afforest areas are less than 10%. In coming 25 years, an amount of 21.3 billion yen will be invested to rehabilitate 564ha of degraded mountain land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estimate that how long it will take until the whole degraded mountain lands are completely rehabilitated. Rehabilitation works in Ashio may be applicable to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in the abandoned coal-mine lands of Korea.

1880년대에 이미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대규모 삼림이 황폐되었고. 그 후에 이를 복구하기 위해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고 있는 일본 아시오(足尾) 지역을 대상으로 삼림황폐와 황폐산지 복구사업 현황을 분석하였다. 삼림황폐의 원인은 구리 제련과정에서 배출되는 아황산가스. 제련과 광산용 목재의 남벌 대형 산불 험준한 지형 불리한 기후조건 등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분석할 수 있다. 1897년부터 3년 동안 2,399ha의 식수사업을 비롯한 황폐삼림의 복구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었으나, 삼림황폐와 재해발생이 계속되어 1956년에 황폐산지의 총면적은 2,400~3,000ha이었다. 1945년부터 1996년까지$\ulcorner$인력에 의한 방법$\lrcorner$, $\ulcorner$헬리콥터에 의한 방법$\lrcorner$, $\ulcorner$인력과 헬리콥터 조합방법$\lrcorner$에 의한 시공으로 산복 828.19ha와 계간 133개소에 복구공사를 실행하였다. 예산은 약 800억 엔이 투자되었다. 주요 복구공법은 기초공사로서 사방댐과 흙막이공사, 녹화공사로서 식생반공법과 식생대공법 및 식재 공법이며, 인력에 의한 3단계 시공으로 장소별 완전복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시공지의 녹화율은 약 49% 정도이며. 완전히 녹화된 비율은 전체 시공지의 10%에도 미치지 못한 실정이다. 남아 있는 황폐산지에 대하여 향후 25년 동안 약 213억 엔을 투입하여 산복공사 564ha, 계간공사 183개소를 복구할 계획이지만. 완전히 복구하는 데에는 몇 년이 걸릴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곳에서의 황폐산림 복구공법은 우리 나라의 폐광지 산비탈을 복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