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glomeration Economies and Intra-metropolitan Location of Firms: A Spatial Analysis on Chicago and Seoul

집적경제와 도시내 기업입지에 대한 공간분선: 서울과 시카고를 대상으로

  • Jungyul Sohn (Ph.D.Candidate, Department of Geography, Unive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USA)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Urban spatial struct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urban economic activities.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is no more than an aggregated expression of the location and/or relocation behavior of individual firms and establishments.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o identify and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patial behavior of individual firms fo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urban space. Agglomeration economies are one of the most prominent urban economic phenomena in the modern metropolitan area. Most firms in an urban space seek external economies through the spatial clustering of their activities. Agglomeration economies feature prominently in the analysis of urban economic structure across urban areas. While the agglomeration economies between cities focus at the macro-scale of analysis, such economies within any given city focus more on the micro geographical scale. There have been a number of researches on agglomeration economies, among which there are relatively few approaches based on an intra-urban context. This proper explores the agglomeration economies at the micro scale and tries to reseal the spatial realization of the agglomeration economies within and between sectors. Three sectors are considered in the analysis; manufacturing, retail and service. The model is based on simultaneous equation systems combined with spatially weighted variables and estimated by the KRP estimators.

도시공간구조는 도시경제활등의 공간적 분포를 반영한다. 또한 공간분포는 개별 경제활동주체들의 입지 또는 재입지 행태의 집합적 표현에 다름 아니다. 이러한 견지에서. 개별기업의 공간행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검증해 보는 것은 도시공간의 포괄적인 이해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집적경제는 대도시 지역 내에서 매우 두드러진 도시경제현상 중의 하나이다. 도시공간 내 대부분의 기업들은 경제활동의 공간적 집중을 통해 외부경제를 추구한다. 본 연구의 촛점은 도시내 경제구조의 분석을 통해 집적경제를 고찰하는 것이다. 많은 수의 기존 연구들이 보다 거시공간적 규모에서 도시간 집적경제의 패턴에 대해서는 분석을 하였으나 도시내 패턴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다. 본 논문은 집적경제를 미시공간적 규모에서 고찰함으로써 경제부문간 및 부문내 집적경제의 공간적분포를 파악하고자 한다. 제조업, 소매업 및 서비스업이 분석대상으로 모형에 이용되었다. 분석모험은 공간 계량 경제학적으로 보정된 변수들을 이용하는 연립방정식 모형이 이용되었으며 회귀결과는 KRP 기법으로 추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