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내 입지

Search Result 13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Locational Effect of Seoul-Pusan High Speed Rail on Urban System and Urban Scale Economies (고속철도역 입지의 도시시스템 및 도시경제 변동효과)

  • 김의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1
    • /
    • pp.25-34
    • /
    • 1998
  • 본연구의 목적은 경부고속철도역의 입지가 도시간 인구분포와 도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 는 데 있다. 인구분포 결정식의 추정결과를 토대로 하여 고속철도의 건설에 따른 도시시스템의 변화를 살펴보면 대도시내 인구분산화가 이루어지면서 대도시와 중소도시간 인구불균등은 심화될것으로 예상된 다. 고속철도의 역사가 입지하는 도시의 경제활동이 증가한 점을 감안하면, 향후, 서울 , 대구, 부산등의 도시경제 수준은 상대적으로 열악해 지고 천안과 대전은 고속철동역 유치로 인하여 도시성장 기반을 구 축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개발차원에서 수도권 남부지역에 고속철도역을 입지시켜 서울의 중추기능을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 고속철도 개발을 통해서 수도권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도시권이 형성되어 수도권 내 2대 공간체계가 개발된다면 서울도시권에 대한 기존의 개발압력을 줄이면서 수도권내 남부도시권은 천안 및 대전과 연계되어 광역적인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 PDF

Agglomeration Economies and Intra-metropolitan Location of Firms: A Spatial Analysis on Chicago and Seoul (집적경제와 도시내 기업입지에 대한 공간분선: 서울과 시카고를 대상으로)

  • Jungyul Soh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6 no.5
    • /
    • pp.561-577
    • /
    • 2001
  • Urban spatial struct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urban economic activities.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is no more than an aggregated expression of the location and/or relocation behavior of individual firms and establishments.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o identify and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patial behavior of individual firms fo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urban space. Agglomeration economies are one of the most prominent urban economic phenomena in the modern metropolitan area. Most firms in an urban space seek external economies through the spatial clustering of their activities. Agglomeration economies feature prominently in the analysis of urban economic structure across urban areas. While the agglomeration economies between cities focus at the macro-scale of analysis, such economies within any given city focus more on the micro geographical scale. There have been a number of researches on agglomeration economies, among which there are relatively few approaches based on an intra-urban context. This proper explores the agglomeration economies at the micro scale and tries to reseal the spatial realization of the agglomeration economies within and between sectors. Three sectors are considered in the analysis; manufacturing, retail and service. The model is based on simultaneous equation systems combined with spatially weighted variables and estimated by the KRP estimators.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REITs Assets (운영부동산 유형별 리츠자산의 입지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Jung Jaeyeon;Lee Changsoo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40 no.1
    • /
    • pp.89-110
    • /
    • 2024
  • REITs are very closely related to real estate management, but there have been no prior studies analyzing the location of REITs asset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REITs assets in two aspects to clarify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by using spatial information of REITs asset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of city where REITs assets are distributed were analyzed, an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zoning where REITs assets are distributed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where REITs assets are distributed by type, it was analyzed that in the case of the capital area, both the ratio of cities with REITs assets location and the intensity of REITs assets location (number of REITs assets per city) have location characteristics by city hierarchy in the order of metropolitan city > big city > small and medium-sized city. In the case of non-capital area's metropolitan and large cities, the ratio of REITs assets location cities is similar to that of the capital area, but the location intensity of REITs assets was analyzed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apital a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ITs assets by type, housing REITs assets tend to be located in the old downtown commercial zoning and the new downtown residential zoning, office REITs assets are characterized by concentration of location in specific commercial zoning of Seoul, and retail REITs assets are located mainly in the old downtown station area.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logistics REITs assets tend to be located in management zoning, centering on key logistics hub cities in the region.

The Formation Factors and Distribution Analysis of High-Class Residential Areas in Seoul (서울시 고급 주택지역의 형성요인과 분포 분석)

  • Kim Min-Hoi;Kim Tae-Hyun;Hong Sun-Gwan;Kim Hong-Kyu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6 no.6
    • /
    • pp.1-7
    • /
    • 2005
  • 도시화는 현대사회의 가장 큰 특징이며 도시가 성장하면서 과거의 기능이 변화하고 도시내부의 공간구조가 점차 기능적으로 분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 중의 하나는 주거지역의 입지변화와 공간적 확산과정에서 나타나는 주거지 분화현상이다. 도시생태학자 Hoyt은 주거지 이동패턴에 대하여 도시 내의 주거지분포 패턴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최고지대를 지불할 수 있는 부유층의 주거입지 선택에 따라 전체 도시의 계층별 주거분포가 영향을 받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서울은 소규모로 계획된 역사도시에서 인구 1000만의 대도시로 성장하여 오면서 많은 구조적 변화를 경험하여 현재의 공간구조를 이루게 되었다. 현재 전체 서울의 주택지는 동일한 것이 아니고 각종 주위환경에 따른 성격과 특성을 달리하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특성을 달리하는 주택지들이 모여서 각기 상이한 역할을 수행하고 서로 기능적 관계를 맺으면서 주택지를 형성하고 있다. 선형이론(Hoyt's Sector theory)에 따르면 고급주택지역의 도시 공간구조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의 고급주택지역의 분포와 그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고급주택지역의 분포를 형성하는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고급주택지의 지역적 분포를 파악하여 그 입지 성향과 특성을 알게 되면 도시의 토지이용계획, 특히 주거지계획에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Introduction of Green Infrastructure in South Korea and Its Implication focusing on Urban Resilience (국내 그린 인프라의 도입과 그 기대효과 : 도시 회복력 정의)

  • Kang, Dawon;Seo, Y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53-253
    • /
    • 2020
  • 최근 전 세계는 급격한 기후변화와 도시화의 집중 등으로 인해 예상치 못한 수문학적인 문제, 특히 도시 내 홍수 피해 규모와 빈도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도시 개발은 그레이 인프라(Gray Infrastructure)형을 중심으로 불투수 포장면의 증가를 가져왔다. 그 결과로 자연적 투수층이 감소하여 첨두유량 증가, 침투량 감소와 같은 도시물 순환의 문제점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에 많은 국가들이 그린 인프라(Green Infrastructure)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지하고 그와 관련된 정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그린 인프라는 모든 개발사업의 계획 이전에 고려되느냐 기타 기반 시설의 계획 후 입지를 결정하느냐에 따라 입지 선정 기준을 크게 두 가지로 구축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도시 내 물 순환을 관리하여 유출수를 지표로 침투시켜 도시의 회복력을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후자에 해당된다. 자연과 분리되거나 별도로 적용하지 않으면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 수 있으며 소규모로도 물 순환을 가능하게 해 도시의 큰 구조적 변화 없이 적용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신월지구에 선행 된 시험 관측 결과를 토대로 도시 내 그린 인프라의 설치에 따른 도시 회복력에 대한 정의를 내려보았다.

  • PDF

Locational changes of the branch-bank with GIS in Taegu (GIS기법(技法)에 의한 은행(銀行) 점포(店鋪)의 입지변동(立地變動) - 대구시(大郵市)를 사례(事例)로 -)

  • Park, Chan-Suk;Yi, Yun-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 no.2 s.2
    • /
    • pp.113-129
    • /
    • 1993
  • The technique of GIS has been used in diverse applications. This study analyzed with the use of GIS technique how the branch-banks of Taegu undergone locational changes. Locational changes of the branch-banks in a city have great significance in such disciplines as urban geography and urban planning. The location of the blanch-bank plays a major role in the urban study to represent the flow of layer-by and producer under the commodity economy and find spatially out the shift of the economy gravity of urban center. But there have difficulties in the difficulties research on locational changes of the branch-bank with traditional map overlay techniques. The technique of GIS allowed to overcome there difficulties beyond the limits of traditional research methods.

  • PDF

An Approach to Urban Planning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through Location/Allocation of EMS(Emergency Medical Service) - Focused on Optimum Location of Safety Centers in Jinju - (응급의료서비스 입지/배분을 통한 도시방재시스템의 도시계획적 접근 - 진주시 안전센터의 최적입지를 중심으로 -)

  • Choi, Jin Do;Kim, Yeong;Kim, Sung Du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12-112
    • /
    • 2011
  • 오늘날 우리 사회의 생활과 문화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공공 및 개인의 안전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재난과 비상사태는 생명에 대한 희생뿐만 아니라 훨씬 더 심각한 경제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응급사태에 개비하여 적절히 준비되지 않았거나 재난의 예방 및 완화시킬 방법을 가지고 있지 못한다면 도시의 발전적인 프로젝트는 예고 없이 도시를 강타하는 재난 및 비상사태에 의해 무산되고 만다. 이러한 여건 하에 재난과 응급사고를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응급처치와 서비스에 대한 급격한 관심과 함께 일정한 결정적 대응시간 내에 각종사고와 재해로부터 방어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증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신고, 응급구조, 환자이송 등 도시의 병원 전 단계 의료환경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반응시간과 출동거리를 분석함으로써, 응급사고에 즉시 응급구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안전센터(119센터)의 최적 입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사고발생, 반응시간, 출동거리 등을 응급의료 활동과 관련된 연구논문, 대상지 전역의 소방기록물과 출동일지 등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신속한 응급의료 서비스를 위한 패턴을 분석 하였다. 또한 응급구조대의 조직과 활동의 분석을 통해 응급의료시설의 최적 입지설정을 위한 제도적 개선대안을 마련해 보았다. 대상지 연구를 위해, 구조활동 및 소방서비스의 최근 통계자료의 조사를 통해 진주시의 모든 119센터의 입지와 응급의료서비스 및 사고발생 현황을 나타내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SPSS14.0을 사용하였으며, 지역의 특성 분포, 안전센터별 대응시간, 이송시간 등을 소방 GPS시스템과 입지할당모형 중 Center Point Model(CPM)을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대상지역의 119안전센터의 서비스 질이 나쁜 지역을 지리학적인 관점에서 최적 입지/배분 패턴의 설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미래 응급의료서비스의 효율적인 입지/배분을 통해 공공 및 개인의 안전과 건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zing the Location of Urban Neighborhood Parks Using GIS and AHP Techniques (GIS와 AHP 의사결정 방법을 이용한 도시 근린 공원의 입지 분석)

  • 홍성언;박수홍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8 no.5
    • /
    • pp.849-860
    • /
    • 2003
  • City's inhabitants should be able to utilize a variety of urban infrastructures and public facilities in a way of possessing the convenience, amenity, and safety of urban life. Most of the city government, however has established a policy for making and providing urban park facilities based on a very simple quantitative criteria rather than the qualitative criteria such as appropriateness, utility, accessibility, equity so far. Especially in the case of urban neighborhood parks, the usefulness to the inhabitant and accessibility to the parks may be questionable.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analyze the spatial equity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urban neighborhood parks and to select several potential facility sites required in the study area using GIS's spatial analysis functions. Finally this study analyzes the possible location of an urban neighborhood park in terms of objective criteria and AHP techniques.

Location and Spatial Variations of Ceramic Industry in Miryang City, Kyongnam Province, Korea (밀양시 요업의 입지와 공간변화)

  • Lim, Yeong-D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8 no.1
    • /
    • pp.40-64
    • /
    • 2002
  •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ceramic industry in Miryang city, Kyongnam province, were clarified by means of examining the process of its formation, spatial variation, locations and their changes. The government policy on industry and the business fluctuation are important in the quantitative changes of the industry. The spatial variation of industry toward the outer part of area are the results of equilibrium between the decrease of firms in inner city and the increase of firms in outer part. The births and deaths of firms played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es of spatial variations. The industry location has lasted by the accumulation of location decision of 'potential entrepreneurs' who learned knowledges on the industry and had personal contacts with the business-related persons for long time. The main factors on the locational decision of firms are personal factor, raw materials, land, water and market. The locational problems have mainly related with plant expansion, land, marketing, labour and capital. They caused investment changes and caused relocations of firms. Such disadvantages as raw material exhaustion, shortage of land and congestion within the agglomeration area, development of road transportation and local government policy on industry location, induced recent decentralization of industry to outer part.

  • PDF

Introduc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Reservoir Park Mitigating Flood (홍수대응 다목적 재해대응 저류공원의 도입과 분류체계 연구)

  • Moon, Soo-Young;Jung, Seung-Hyun;Yun, Hui-J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2
    • /
    • pp.646-659
    • /
    • 2018
  • This study proposed "Reservoir Park", which added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to urban green spaces such as city parks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related laws review, case studies, field trips. This is a combination of urban parks and reservoirs as urban planning facilities, which can provide both space for daily use by urban residents and disaster mitigation functions in case of emergency. In order to prevent flooding in urban areas due to climate change, facilities should be installed in the form of parks, etc., as the reservoir facility should be systematically reviewed together with urban planning facilitie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reservoir park was not clear as a theme park. In this study, the types of storage facilities in urban areas were reclassified into five types of storage park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green spaces through domestic case studies and field trips. The classification of the reservoir parks is classified into 5 kinds such as ecological type, vegetation cover type, exercise facility type, underground burial type and hybrid type based on groundwater level, human use, and reservoir size. This classification system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types of facilities to be built after designating the location of future storage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