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mproved Watermark Detection Metho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상관성 분석에 기반한 신뢰성있는 워터마크 검출 방법

  • 강현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방송연구소) ;
  • 최재각 (동의대학교 컴퓨터응용공학부) ;
  • 이시웅 (한밭대학교 정보통신컴퓨터공학부) ;
  • 안치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방송연구소) ;
  • 홍진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방송연구소)
  • Published : 2001.09.01

Abstract

A digital watermark Is a perceptually unobtrusive signal embedded in some multimedia asset such as an Image for copyright protection. In many cases watermark detection amounts to thresholding a correlation vague between a watermark and a received image. Watermarking detection schem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Type 1 is based on a correlation process that is applied to the difference between an original image and an input Image to be tested. Type 2 is based on a correlation process that is directly applied to an input Image. The type 1 fails to prove the rightful ownership, while type 2 has an advantage in terms of rightful ownership compared with type 1. However, type 2 has a problem that doesnt appear in type 1. The problem is that correlation between a watermark and an original Image to be watermarked is trio significant to be ignored, when it Is normalized by watermarks energy. In this paper,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we propose a novel watermarking scheme to minimize the effect and als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by experiments.

워터마크란 저작권 보호를 위해 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에 심어두는 보이지 않는 신호를 말한다. 많은 경우에 워터마크 검출기법은 상관성을 구한 후, 그 값을 정해진 임계값과 비교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관성을 구할 매 원영상의 사용 유무에 따라 2가지 부류로 나누어진다. Typel검출기는 원영상(original image)과 테스트할 입력영상과의 차신호를 상관기의 입력으로 사용 하는 경우이고, Type2검출기는 입력영상을 직접 상관기의 입력으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Typel검출기는 올바른 저작권을 증명하 는데 어려움을 가진다. 반면. Type2 검출기는Typel검출기와 비교할 때, 올바른 저작권 증명에 있어서는 유리하지만 Typel검출기 가 가지지 않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 문제점은 워터마크와 워터마킹할 원영상 사이의 상관성이 워터마크의 에너지로 정규화할 때 그 값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 상관성이 워터마크 검출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면서 그 영향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하고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분석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