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풍수는 중요한 연구주제인가\ulcorner

Why is Geomancy an Important Research Topic for the Korean Geographers\ulcorner

  • 발행 : 2001.12.01

초록

풍수지리설은 재래 한국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지금도 사회 일각에서는 풍수신앙이 성행하고 있다. 이러한 풍수지리설은 중국 황토고원의 굴집을 마련하는 데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이 한국에 전파되어 고대부터 한국의 문화경관 형성과 한국인의 땅을 보는 의식구조(geomentality)에 큰 영향온 미쳤다. 근래 지리학자들이 풍수연구를 외면하는 경향은 지리학자들이 지관으로 몰리고 지리학이 풍수학으로 오인될까 염려한데 그 큰 이유가 있는 것 같다. 풍수지리설리 옳고 그름은 신앙차원의 문제지, 과학적으로 학문적으로 다 룰 문제가 아니다. 명당을 찾는 지관을 축구경기에서 뛰고 있는 축구 선수에 비유한다면 풍수를 연구하는 학자는 축구 관전평을 쓰는 사람에 비유할 수 있다. 풍수를 연구하는 지리학자는 풍수신앙을 객관화 하여 학적으로 따져보고 설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eomancy (feng-shui in Chinese and Pungsu in Korean)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Korean culture and is still practiced by many Koreans. This art is thought to have originated from the early Chinese people's search for an ideal site for preparing a cave dwelling. Ever since geomancy was introduced to Korea, it has been a crucial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cultural landscape and the Korean geomentality. The current tendency of avoiding research into geomancy by the Korean geographers might have developed from their desire to avoid wrongly labeling themselves as geomancers and their discipline as geomancy studies. The geographer\`s aim of studying geomancy is not to prove the truthfulness of geomantic doctrines, but is to document and explain the impact of geomancy on the Korean cul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지리학논총 v.13 전통촌락의 洞藪에 관한 연구-안동내앞 마을의 開湖松을 중심으로- 김덕현
  2. 大學新聞 v.4 지리학은 풍수와 동일시 될 숭 없다 金 仁
  3. 高時代의 硏究 李丙
  4. 조선의 풍수 최길성(역)
  5. 韓國의 風水思想 崔昌
  6. 地理正宗에 포함됨 竹林書局 璞;書;灣
  7. 韓國史 市民講座 v.14 風水地理設의 本質과 起源 및 自然觀 尹弘基
  8. 韓國學報 v.79 풍수지리의 기원과 한반도로의 도입시기를 어떻게 볼 것인가 尹弘基
  9. 지리학논총 v.14 한국적 Geomentality에 대하여 윤홍기
  10. 공간과 사회 v.15 경복궁과 구 조선총독부건물 경관을 둘러싼 상징물 전쟁 윤홍기
  11. 週刊調鮮 v.28 風水十講 제 1화 山相
  12. 高麗大學校 大學院 地理學科 博士學位 論文 嶺南 地方의 裨補 崔元碩
  13. 韓國民間傳說集 崔常
  14. 韓國民俗調査報告書:전라북도편 韓國文化人類學會
  15. Proceedings of the Royal AnthropologicalInstitute of Great Britain and Iremand Geomancy Freedman;Maurice
  16. Traces on the Rhodian Shore Glacken;Clarence J.
  17. An Anthropological Approach to Civilization Peasant Society and Culture Redfield;Robert
  18. Asian Folklore Studies v.34 An analysis of Korean Geomancy tales Yoon Hong-Key
  19. Taipei: Orient Culture Service Geomantic Relationships Getween Culture and Nature in Korea Yoon Hong-key
  20. GeoJournal v.4 no.4 The image of nature in Geomancy Yoon Hong-key
  21. GeoJournal v.8 no.1 Environmental determinism and Geomancy:two cultures, two concepts Yoon Hong-k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