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Volume 34 Issue 6
- /
- Pages.597-604
- /
- 2001
- /
- 2799-8746(pISSN)
- /
- 2799-8754(eISSN)
Estimating the Variations of Tidal Flat Areas after the Seawall Construction from Topographic Maps, Hydrographic Charts, and Satellite Images
지형도, 해도 및 위성영상을 이용한 방조제 축조 후의 간석지 면적 변화 추정
- Gang, Mun-Seong ;
- Park, Seung-U (Dept.of Agricultur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Sang-Min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e paper was to estimate the changes in acreages of tidal flats after the seawall construction at the Asan Bay and the Chunsu Bay from topographic maps, hydrographic charts, and Landsat TM images. The tidal floats from topographic maps published in one year differ significantly from that in the other, which appears to be attributed to the tide levels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The hydrographic charts showed that tidal flats increase at rates of 22.3 ha/yr at the Asan Bay and 56.6 ha/yr at the Chunsu Bay after the dike construction. Applying the ISODATA method of unsupervised classifications for the Landsat TM images, the tidal flats were identified, and the resulting acreages for each image estimated. The resulting tidal flats increased at the rates of 21.3 ha/yr at the Asan Bay and 47.3 ha/yr at the Chunsu Bay during twelve years after the dike construction. It was found that the rates of the annual increases from the two data are very close and the differences result from the coastal lines at the charts and the TM images.
본 연구에서는 지형도, 해도,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하여 아산만과 천수만 지구를 대상으로 방조제 축조 후 의 간석지 면적을 추정하였다. 지형도를 이용한 방조제 축조 후의 간석지 면적의 산정 결과는 아산만 지구와 천수 만 지구 모두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이는 지형도의 제작시 항공사진 촬영시간의 조위를 감안하지 않은 결과로 평가된다. 해도의 분석 결과, 아산만 지구와 천수만 지구의 방조제 준공후 연평균 간석지면적은 각각 22.2 ha/yr, 55.6 ha/yr 만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기 Landsat-5 TM 영상을 이용하여 무감독분휴의 ISODATA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방조제 축조후 간석지 면적은 아산만 지구가 21.33 ha/yr, 천수만 지구가 47.3 ha/yr의 증가를 보였다. 해도 분석에 의한 간석지 면적의 증가 양상은 방조제 축조 후의 증가 비율이 축조 전의 증가 비율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방조제 축조 후의 위성영상 자료에 의한 간석지 면적의 증가 추세는 해도에 의한 분석 결과 의 경향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