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graphic chart map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바다지도' 데이터 입력 모듈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a Map' Data Importer Module)

  • 여지민;박대원;박수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91-99
    • /
    • 2014
  • 본 논문은 '바다지도' 데이터를 이용한 지도 기반의 응용시스템을 위한 '바다지도' 데이터 입력 모듈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것이다. '바다지도' 데이터 입력 모듈은 응용시스템에서 '바다지도' 데이터를 시스템의 내부 자료 구조 및 형식으로 쉽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일관된 형식으로 '바다지도' 데이터를 입력하여 제공한다. '바다지도' 데이터 입력 모듈의 설계는 '바다지도' 데이터 특성 분석을 바탕으로 하였다. 국제수로기구의 S-57 전자해도 표준의 데이터 형식과 '바다지도'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자해도 표준에 따른 전자해도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표준인 S-52 표준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바다지도' 데이터를 위한 자료구조를 정의하였다. 그리고 배포형식의 '바다지도' 데이터 셋을 해도 응용시스템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바다지도' 데이터를 파싱하여 객체를 중심으로 정의한 자료구조로 변환하는 입력 모듈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또한 '바다지도' 데이터 입력 모듈의 테스트를 위해 '바다지도' 뷰어를 구현하여, 입력 모듈을 테스트하였다.

전자해도용 GML 스키마 정의 및 변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ML Schema Definition and Translation of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 오세웅;박종민;서기열;조득재;박상현;서상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66-469
    • /
    • 2006
  • S-57은 디지털 수로정보 전송을 위한 IHO 표준으로 다양한 형태의 수로정보를 위한 표준임에도 불구하고 표준에서 채택하고 있는 구조의 한계로 인해 전자해도(ENC) 제작목적으로만 사용되어 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제수로기구(IHO)는 신규 표준을 준비하고 있으며 특히 GML을 수로정보 모델링 및 엔코딩 도구로 고려하고 있다. 전자해도는 해양GIS 분야의 Base map으로 기대되어 그 가치가 인정되나 전자해도용 GML 개발연구가 진행된 바 없어 활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전자해도의 GML 변환은 사용자 편의증진과 응용시스템으로의 쉬운 적용 등 많은 이점이 예상되는바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자해도 GML 변환을 위한 GML 응용 스키마와 변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

지형도, 해도 및 위성영상을 이용한 방조제 축조 후의 간석지 면적 변화 추정 (Estimating the Variations of Tidal Flat Areas after the Seawall Construction from Topographic Maps, Hydrographic Charts, and Satellite Images)

  • 강문성;박승우;김상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597-60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지형도, 해도,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하여 아산만과 천수만 지구를 대상으로 방조제 축조 후 의 간석지 면적을 추정하였다. 지형도를 이용한 방조제 축조 후의 간석지 면적의 산정 결과는 아산만 지구와 천수 만 지구 모두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이는 지형도의 제작시 항공사진 촬영시간의 조위를 감안하지 않은 결과로 평가된다. 해도의 분석 결과, 아산만 지구와 천수만 지구의 방조제 준공후 연평균 간석지면적은 각각 22.2 ha/yr, 55.6 ha/yr 만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기 Landsat-5 TM 영상을 이용하여 무감독분휴의 ISODATA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방조제 축조후 간석지 면적은 아산만 지구가 21.33 ha/yr, 천수만 지구가 47.3 ha/yr의 증가를 보였다. 해도 분석에 의한 간석지 면적의 증가 양상은 방조제 축조 후의 증가 비율이 축조 전의 증가 비율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방조제 축조 후의 위성영상 자료에 의한 간석지 면적의 증가 추세는 해도에 의한 분석 결과 의 경향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 PDF

일관된 해안선 길이 산출을 위한 프랙탈 차원 적용 방안 연구 - 제주도를 중심으로 - (Application of Fractal Dimension on Consistent Calculation of Coastline Length - Focused on Jeju Island)

  • 우희숙;권광석;김병국;조석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83-88
    • /
    • 2016
  • 일관적인 해안선의 사용은 지자체간의 이해관계와 해상경계를 일관적으로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된다.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일관된 해안선 생산을 위해 2001년 이후 전 국토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체계적인 관리의 미비, 부정확한 자료 등으로 연도별 해안선의 길이는 상이하였다. 또한 지형 표현 방법의 현실화를 위해 해도에 있는 해안선을 수치지형도에 표시하도록 개정[국토지리정보원 수치지형도 작업규정-제19조 제3항]하였으나 다양한 측량기술과 해안선 추출방법에 따른 해안선 길이의 편차(불일치)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유사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프랙탈 기법인 수정 분할자법(modified divider method)를 사용하여 제주도 해안선 길이 특성을 분석하였다. 적절한 분할자 사용을 위해 수치지형도 작업규정 공공측량 개정안에 있는 벡터화의 정확도를 실제거리로 환산하여 결정하였다. 수행 결과 1:5,000 자료에서 제주시는 1.14, 서귀포시는 1.12이며, 1:25,000 자료에서 제주시는 1.13, 서귀포시는 1.10로 제주시가 복잡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안선의 길이가 복잡도와 축척에 따라 전체 해안선 대비 산출길이의 비율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일관된 해안선 길이 산출을 위해 실제 해안선을 표현할 수 있는 최소 정점 간격에 대한 연구 및 최소 해안선 길이 비율에 대한 기준 제시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원격탐사와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시화지구 일대의 지표환경변화와 토공량 예측연구 (Geo-surface Environmental Changes and Reclaimed Amount Prediction Using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the Siwha Area)

  • 양소연;송무영;황정
    • 지질공학
    • /
    • 제9권2호
    • /
    • pp.161-176
    • /
    • 1999
  • 해안매립의 적지로 선정된 시화지구 일대의 시화방조제와 안산신도시개발과 관련된 지표지형의 변화를 관측하기 위해 년도별 인공위성영상을 이용하였으며, 시화방조제 완공으로 노출된 간척지의 매립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였다. 시화지구 일대의 인위적인 인간활동과 관련된 년도별 지형의 변화양상과 퇴적물의 분포양상, 산림의 토지피복상태, 그리고 변화된 토지피복현황을 관측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위성영상합성, Tasseled cap, 식생지수와 감독분류기법을 이용하였다 매립계획이 수립된 간척지의 매립량을 토목공사 이전에 추측하기 위하여 지질도, 시화간척지 조성계획도, 지상 DEM, 해저 DEM자료층을 지형도, 지질도, 해도, 시화지구 계획도면으로부터 추출하였다. 또한, 인공위성 영상자료 중 감독분류 영상을 분석하여 인근육지의 절취예상 가능위치를 추출하였다 해안선 및 연안지역의 지표지형변화 관측을 위한 처리기법 중 Tasseled cap으로 노출된 조간대의 퇴적물의 침식과 퇴적지역을 관찰하였고, 식생지수 기법으로 식생지수의 차이를 이용하여 산림피복 분포양상을 파악하였으며, 감독분류 영상으로부터 년도별 토지피복 변화현황을 관찰하였다. 수치지형분석으로 계산된 시화지구 간척지의 총매립량은 $581,485,354\textrm{m}^3$이고, 이를 호수공원 하부에서 준설할 경우 예상되는 최종 호수공원의 깊이는 9.2m이다. 또한, 계획단지 주변에 제방을 축조할 경우, 소요될 매립량은 $3,387,360\textrm{m}^3$이며, 이를 인근육지로부터 절취한다고 가정할 때, 선감도와 송산면일부, 대부도일부 예정지의 절취량은 각각 $5,229,576\textrm{m}^3,{\;}79,227,072\textrm{m}^3,{\;}47,026,008\textrm{m}^3$이다. 따라서, 제방 축조시 필요한 토공량은 대부도일부의 절취량만으로도 충분히 충당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