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Korean Normative Study of 213 Pictures

한국판 그림자극의 규준연구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A Korean standardized set of pictures has been called for as more and more studies utilized picture stimuli among memory and representation research. This article presents a Korean standardized set of pictures for studies probing the cognitive mechanisms that underlie picture and word processing or studies that simply utilize pictures stimuli. This norm provides 213 pictures, data on several variables such as name agreement, appropriateness of pictures. and familiarity. Previous data on such variables as frequency. category. and frequency within a category have been integrated 1 into this norm. Limitation, usage. and application of this set are discussed in terms of 1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and those variables mentioned previously.

최근 국내에서도 기억 및 표상 연구에서 그림자극을 사용하는 예가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한국판 그림자극 규준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그림과 단어처리의인지적 기제를 밝히려하거나 그림을 자극으로 사용하는 기억연구를 위해 한국판 그림자극 규준을 제시한다. 본 규준은 213개의 그림들과 이 그림들에 대한 명명일치도, 표현적절성, 친숙도 평정자료, 그리고 이전 연구들에서 다루어진 관련 변인들(빈도, 범주, 범주빈도)의 정리를 포함한다. 아울러, 최근의 암묵기억과 외현기억 연구들에서 논의되고 있는 변인들을 중심으로 본 자극 세트의 제한점을 살펴보고, 응용범위에 대해 고찰해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Memory & Cognition v.4 Catalog of scaled verbal material A.S.Brown
  2.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Learning and Memory v.6 no.2 A standardized set of 260 pictures: Norms for name agreement. image agreement. familiarity and visual complexity J.G.Snodgrass;M.Vanderwart
  3. 한국심리학회지:실험 및 인지 v.11 no.2 양상이동과 처리수준에 따른 처리해리: 한국어 단어완성 점화연구 박태진;박미자
  4. 현대 한국어이 어휘 빈도-빈도 7 이상 서상규
  5.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Monograph v.80 no.3 Category norms for verbal items in 56 categories: A replication and extension of the Connecticut category norms W.F.Battig;W.E.Montague
  6. Computational analysis of present-day American English H.Kucera;W.N.Francis
  7.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v.3 우리말 범주규준 조사 -본보기 산출 빈도. 전형성. 그리고 세부특징 조사- 이관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