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rt-term Stable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 Synchronized Clock in the Synchronization Network and SDH Based Network

동기망과 동기식 전송망에서의 동기클럭 단기안정 특성 분석

  • Published : 2001.06.01

Abstract

동기망과 동기식 전송망을 설계할 때에는 동기클럭의 단기안정 클럭특성과 이에 따른 망구성 노드수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또한 동기망과 전송망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만일 전송망 만을 고려한다면 동기망에서의 발생할 수 있는 클럭성능 저하를 반영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로 동기식 전송망만을 적용하여 연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동기망과 동기식 전송망을 통합 고려하고, 최악의 원더생성을 적용하였을 때의 세가지 클럭상태에 따른 망동기클럭의 MTIE와 TDEV 특성을 얻었다. 또한 현 ITU-T 규격을 적용하여 세 가지 클럭상태에 따른 최대 망 구성 노드수를 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ITU - T Recommendation G.707, 'Network node interface for the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SDH),' March 1996
  2. 한국전기통신공사, 디지털 클럭 공급장치(DOTS)설명서, 1988
  3. R. G. Kusyk, W. A. Krzymien, and T. E. Moore, 'Analysis of techniques for the reduction of jitter caused by SONET pointer adjustments:' IEEE Trans. Comm Vol.42, No.2/3 /4, pp.2036-2050, Feb./Mar./Apr. 1994 https://doi.org/10.1109/TCOMM.1994.583418
  4. 이창기, 김재근, 'SDH시스템에서의 포인터조정 지터 감소 알고리듬 및 성능연구', 대한전자공학회 논문지, 제30A권 제2호, pp.1-9, 1993
  5. ITU- T Draft Recommendation G.810, 'Definition and terminology for synchronization network,' Sept. 1996
  6. ITU-T Draft Recommendation G.811, 'Timing characteristics of primary reference clocks,' Sept. 1996
  7. ITU - T Draft Recommendation G.812, 'Timing requirements of slave clocks suitable for use as node clocks in synchronization networks,' June 1998
  8. ITU- T Draft Recommendation G.813, 'Timing characteristics of SDH equipment slave clocks(SEC),' Aug. 1996
  9. ANSI Draft T1.105.09, 'Network element timing and synchronization,' 1995
  10. ANSI Revised Draft T1.101, 'Synchronization interface standard,' 1999
  11. S. Bregni, M. Carbonelli, D. De Seta, and D. Perucchini, 'Clock stability measure dependence on time error sampling period.' Proceedings of IEEE GLOBECOM '94, pp.1451-1455, 1994 https://doi.org/10.1109/GLOCOM.1994.513017
  12. S. Bregni and D. Perucchini, 'Different behaviour of frequency stability measures in independent and synchronized clocks : theoretical analysis and measurements results,' Proc. IEEE SUPERCOMM/ICC'94, pp.1066-1070, New Orleans. May 1995 https://doi.org/10.1109/ICC.1994.368938
  13. G. M. Garner, 'Accumulation of random noise in a chain of slave clocks,' Proceedings qf the 48th Annual Symposium on Frequency Control, IEEE, Boston, USA, June 1994 https://doi.org/10.1109/FREQ.1994.398245
  14. 임범종, 이두복, 최승국, 김장복, '동기식 통신망에서 발생되는 위상시간 에러의 컴퓨터 시물레이션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1호, pp.2160-2169, 1994
  15. 이창기, 이재환, 홍재근, '동기식 전송망의 망동기클럭 시뮬레이션에서 양선형 변환에 의한 플리커잡음 발생방법', 한국통신학회 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제15권 제1호, pp.1583-1587, 1996
  16. S. Bregni and A. Manzalini, 'A practical estimate methodology for MRTlE and related issues,' Proceedings of IEEE GLOBECOM'93, pp.1506-1510, Huston, USA, Nov. 1993 https://doi.org/10.1109/GLOCOM.1993.318322
  17. G. Garner, 'Noise accumulation in synchronization reference chains,' Contribution to T1 Standard Project, T1X1.3/95-044, 1995
  18. 이창기, 이철, 홍재근, '동기식전송망에서의 망동기클럭 성능분석', 한국통신학회 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제15권 제1호, pp.1578-1582, 1996
  19. 이창기, 홍재근, '동기식 선형망에서의 망동기 클럭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 논문지, 제22권 제9호, pp.2062-2073, 1997
  20. Kirk Mahon, 'Measured phase stability of network signals,' Contribution to T1 standard project, T1X1.3 /92-148, 1992
  21. Bill Powell, 'Network TDEV data and proposed TDEV interface masks,' Contribution to T1 standard project, T1X1.3/92-154, 1992
  22. W. B. Johnson and R. Brown, 'A new network synchronization phase noise simulator,' Contribution to T1 standard project, T1X1.3/91-074, 1991
  23. P. Kartachoff, 'Computer simulation of the conventional clock model,' IEEE Trans. lnstrum Meas., Vol.28, No.3, pp.193-197, 1979
  24. 이창기, 홍재근, '동기식 전송망에 적용되는 DP-PLL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22권 제6호, pp.1289-1301, 1997
  25. 이창기, 홍재근, 이완규, '동기식 전송망에서의 포인터조정발생 특성분석', JCCI98논문집, 제2권, pp.1091-1095, 1998
  26. 이창기, '동기식 전송망에서의 차단주파수에 따른 단기안정 클럭 특성 분석', 한국통신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제20권 제2호, pp.2054-2057,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