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chanical Anisotropy Dependent on the Rock Fabric in the Pocheon Granite and its Relationship With Microcracks

포천화강암내에 발달한 결의 역학적 이방성과 미세균열의 상관성

  • 장보안 (강원대학교 지구과학부) ;
  • 오선환 (공주대학교 문화재 비파괴 진단연구실)
  • Published : 2001.08.01

Abstract

We investigate mechanical anisotropy dependent of rock fabric and its relationship with microcracks in the Pocheon Granit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s range from 177MPa to 212MPa and the elastic constants are 48GPa-62GPa. The tensile strengths are 6.9MPa~8.5MPa and ultrasonic wave velocities range between 3,200m/sec and 3,700m/sec, indicating that mechanical anisotropy is strongly dependent of rock fabric. The minimum anisotropy ratio is 14% and the maximum is 24%, depend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The preferred orientations of microcrack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directions of rock fabric. The preferred orientations of microcracks in feldspar are governed by the direction of mineralogical axis and are different from the directions of rock fabric. However, microcracks in quartz grains are very long and parallel to the directions of rock fabric, indicating that directions of rock fabric may be governed by the preferred orientations of microcracks in quartz grains. The preferred orientations of microcracks measured by differential strain analysis and microscopic observation are slightly different. That may be caused by different methodology. Lengths and numbers of microcrack are measured by microscopic observation. However, differential strain analysis measures the widths of microcracks.

포천 화강암에 대하여 결의 방향성에 따른 역학적 이방성 및 미세균열의 발달관계를 규명하였다. 일축압축강도는 177MPa∼212MPa의 범위를, 탄성계수는 48GPa∼62GPa, 인장강도는 6.9MPa∼8.5MPa, 탄성파 속도는 3,200m/sec∼3,700m/sec의 범위를 보인다. 이방성 비는 역학적 특성에 따라 최소 14%에서 최대 24%이며 1결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난다. 미세균열의 방향성은 결의 방향성과 상당한 연관성을 가진다. 그러나 장석 내에는 결정의 방향에 따라 미세균열들이 발달해 있어서 결의 방향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나, 석영 내에는 연장성이 매우 좋고 결의 방향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많은 미세균열들이 발달해 있어서 석영 내에 발달한 미세균열의 방향성이 결의 방향을 지배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차분 변형률 분석과 현미경 관찰에 의한 미세균열의 방향성은 대체로 결의 방향과 상당히 유사하나, 각각의 측정 방법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차분변형률이 미세균열의 폭을 측정하는 반면에 현미경 관찰은 길이나 개수를 측정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지질공학 v.11 주라기 화강암에 발달하는 결의 현미경학적 분석 박덕원;서용석;정교철;김영기
  2. 암석학회지 v.8 문경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의 미세균열 발달특성 이병대;장보안;윤현수;이한영;진명식
  3. 터널과 지하공간 v.9 조사선을 이용한 화강암의 미세 불연속면 분포성상 평가 이상은;조상호;양형식;박홍민
  4. 지질학회지 v.30 피로하중에 의한 화강암류 암석의 미세균열 발달특성 장보안;최인선;김재동
  5. 지질학회지 v.30 남한의 중생대 화강암에 대한 각섬석 지압계와 지각두께의 진화 조등룡;권성택
  6. J. Geophy. Res. v.71 Dilatancy in the fracture of crystalline rocks Brace, W.;Paulding, B.;Scholz, C.
  7. Rock characterization testing and monitoring ISRM;Brown, E.(ed.)
  8. Bull. U.S. Geol. Surv. v.738 The commercial granites of New England Dale, T.
  9. Geotechnique v.19 Anisotropy of granites : A reflection of microscopic fabric Douglass, P;Voight, B.
  10. Fundamentals of Rock Mechanics Jaeger, J.;Cook, N.G.W
  11. Economic Geology v.30 Rift grain and hardway in some Pre-cambrian granites Osborne F.
  12. Int. J.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v.9 Crack growth and faulting in cylindrical specimens of Chelmsford Granite Peng S.;Johnson A.
  13. J. Geophy. Res. v.89 Near-surface in situ stress : 3. Correlation with microcrack fabric within the New Hampshire Granite Plumb R.;Engelder, T.;Yale, D.
  14. J. Geophy. Res v.83 Characterization of oriented cracks with DSA Siegfried R.;Simmons G.
  15. J. Geophy. Res. v.79 Differential strain analysis : A new method for examining cracks in rocks Simmons G.;Siegfried R.;Feves, M
  16. J. Geophy. Res. v.74 Correlation of longitudinal velocity variation with rock fabric Thill, T.;Williard R.;Bur, T.
  17. Int. J. Rock Mech. Sci & Rock Mech. Abstr. v.10 Velocity anisotropy in dry and saturated rock sphere and its relation to rock fabric Thill, T.;Bur, T.;Steckley, R.
  18. Granite landforms Twidale,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