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Characteristics (salt concentration, weight loss, soluble solid content, moisture content, pH, textural properties) of kakdugi radish cube (kakdugi radish, $2{\times}2{\times}2\;cm$) were evaluated during salting. Five different radish cultivars harvested in autumn were immersed into 10, 15 or 20% brine solution (radish : brine solution = 1 : 2) at $15^{\circ}C$ for 5hrs.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optimum salt concentration (3.0%) was different among cultivars; in the 10% brine solution, 5hr for 'Taeback', 4hr for 'Bakja', 3hr for 'Kwandong' and 'Bakbong', 2hr for 'Bagkwang'. Generally, it was observed that it took shorter salting time at higher concentration of brine solution. While the highest value of weight loss of kakdugi radish cubes was observed with 'Bagkwang', the lowest, 'Taeback'. There was a decrease of pH of kakdugi radish during salting; while 'Bakja' showes little change in pH, 'Bagkwang' shows large decrease of pH. Hardness and fracturability decreased during salting; the highest value of hardness was observed with 'Taeback', the lowest, 'Bagkwang' has the highest moisture content, the lowest soluble solid content and hardness. There was a similarity of characteristics of kakdugi radish cube between two cultivars, 'Taeback' and 'Bakja', as well as 'Bagkwang', and those of 'Kwandong' and 'Bakbong' were between two types of cultivars.
가을무 품종별 깍두기 무의 절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절임염수의 소금 농도(10, 15 또는 20%)를 달리하여 절임염수를 제조한 후 $2{\times}2{\times}2\;cm$로 절단한 5품종('태백', '백자', '관동', '백광' 및 '백봉')의 가을무를 2배의 절임염수에 넣어 $15^{\circ}C$에서 절이면서 절임 중 깍두기 무의 염도, 중량, 수분함량, 가용성 고형물 함량, pH 및 조직감 특성(TPA)을 알아보았다. 5품종의 깍두기 무 모두 절임 염수의 염도가 높을수록, 절임 시간이 경과될수록 염도,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중량 및 수분함량은 강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Texture Analyser에 의한 TPA값중 경도 및 파쇄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깍두기 무의 소금 농도가 3%에 달할 때까지의 절임 염수의 소금 농도에 따른 최적 절임 시간은 10% 절임 염수에서는 '태백'이 5시간, '백자'는 4시간, '관동' 및 '백봉'은 3시간, '백광'은 2시간이 적당하였으며, 15% 절임 염수에서는 '태백'이 2시간, '백자', '관동', '백봉' 및 '백광'은 1시간이 적당하였다. 절이는 동안 중량 감소율은 '백광' 및 '백봉'이 가장 컸고, '태백'이 가장 작았다. 절이는 동안 pH 감소 정도가 큰 품종은 '백광'이였고, pH 변화가 거의 없는 품종은 '백자'이었다. '태백'과 '백자'는 수분함량이 적고 가용성 고형물 함량이 많았으며 경도가 높았으며 '백광'은 수분함량이 많고 가용성 고형물 함량이 적였고 경도가 낮았으며, '관동'과 '백봉'은 '백자'과 '백광'의 중간 정도의 특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