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ing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2초

감압 및 절임방법에 따른 돔배기의 품질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hark Meat (Dombaegi) during Salting Using Vacuum and Conventional Salting Methods)

  • 김도훈;이신호;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69-874
    • /
    • 2009
  • 새로운 돔배기 절임공정을 개발하고자 상압과 감압하에 직간법과 물간법으로 염절임한 돔배기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무게 감소율은 물간법으로 상압하에서 절임 하였을 때 12.23%로 높았으며, 수분함량은 감압상태에서 물간법으로 절임한 돔배기가 65.46%로 높았다. 염함량은 직간법으로 감압상태에서 절임 하였을 때 3.02%로 높았으며, 보수력은 직간법으로 감압상태에서 절임한 돔배기가 60.2%로 높았다. 수분활성도는 상압상태에서 직간법으로 절임 하였을 때 0.926으로 낮았으며, 색차는 감압상태에서 물간법으로 절임한 돔배기가 9.75로 가장 낮았으며, 탄력성은 직간법으로 감압상태에서 절임한 돔배기가 91.7%로 높았다. 상압과 감압상태에서 절임한 돔배기을 비교하였을 때, 감압상태에서 절임한 돔배기의 품질특성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감압상태에서의 절임법은 새로운 절임 가공 기술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계절별 배추 절임염수의 특성변화 (Changes of Brine Characteristics during the Salting Process of Winter, Spring, and Summer Chinese Cabbage)

  • 윤혜현;김동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6-29
    • /
    • 2000
  • Major characteristics of brines produced from the salting process were compared among winter, spring, and summer (highland) Chinese cabbages. The soluble-solids contents of final brine were decreased to 87~90% of initial brine during salting process, and showed 16.3, 15.8, and 14.4$^{\circ}$Brix for winter, spring, and highland Chinese cabbages, respectively. The pHs showed similar changes during salting process from pH 8.40~8.63 for initial to pH 6.03~6.24 for final. The high salting(12.4~14%) of final brine needs dilution or reuse treatemnt before discard. The COD of final brine were increased to 39.6 ppm, 52.1 ppm, 37.7 ppm, respectively. During salting total microbial counts of final brine were increased ten times from those of the initial brines for all samples.

  • PDF

염농도와 절임온도에 따른 돔배기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mbaegi(Salted Shark Meat) with Reference to Salt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during Dry Salting)

  • 김도훈;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656-660
    • /
    • 2009
  • 품질이 균일한 돔배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염농도와 절임온도를 달리하여 상어육을 염절임하는 동안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염농도를 1, 2, 3%로 조정하고 $4^{\circ}C$$18^{\circ}C$에서 절임한 상어육의 품질변화를 비교한 결과, 수분함량은 $4^{\circ}C$, 3%의 염농도에서 절임시 64.2%로 가장 높았으며, 염함량은 $18^{\circ}C$와 3%의 염농도로 절임 하였을 때 높게 나타났고, 보수력은 저온과 높은 염농도로 절임 하였을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활성도는 고온에서 염농도가 높을수록 낮았으며, 색차는 저온과 높은 염농도로 절임 하였을 때 낮아 외관의 변화가 적었음을 알 수 있었다. 탄력성과 강도는 저온과 높은 염농도로 절임하였을 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직간법으로 상어육을 염절임할 때, 높은 농도에서 염절임한 상어육의 품질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절임한 상어육이 염함량을 제외하고는 $4^{\circ}C$에서 절임한 상어육의 품질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지의 절임방법에 따른 성분변화 (Effect of Salting Methods on Compon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Eggplants)

  • 윤경영;홍주연;신승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86-790
    • /
    • 2006
  • 본 연구는 가지의 수출 경쟁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수출용 가지품종인 축양과 시키부를 염가공품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염절임 방법에 따른 품질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절임 3일째 감소하였으며, 염절임 7일째 미강과 소금을 혼합하여 염절임한 가지의 수분감소가 소금물을 단독으로 하여 염절임한 가지의 수분감소에 비해 컸다. 회분함량은 염절임이 진행될수록 증가하였다. 시키부 품종의 당도가 축양 품종의 당도에 비해 높았으며, 염절임이 진행될수록 당도는 크게 증가하였다. 미강과 소금의 혼합 처리시의 당도증가가 소금물 단독 처리시의 당도 증가에 비해 현저하였다. 염절임이 진행될수록 환원당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미강과 소금을 혼합 처리하여 염절임한 가지가 소금물 단독으로 염절임한 가지에 비해 환원당 함량이 높았다. 축양의 수용성단백질 함량이 시키부 품종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에 비해 약간 높았으며, 염절임이 진행될수록 증가하였고, 미강과 소금의 혼합 처리 시 수용성 단백질 함량의 증가가 컸다.

저염 건식절임법으로 제조한 오이지의 저온저장 중 이화학적$\cdot$미생물학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Oiji Prepared with Dry Salting Methods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 권오윤;양윤형;박완수;김미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45-555
    • /
    • 2005
  •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Oiji prepared with dry salting method, which has been used industrially for industry, were investigated. Low salting and low storage temperature were employed:extremely low salting extremely low temperature; ESET $(5\%,\;0^{\circ}C)$, very low salting extremely low temperature;VSET $(10\%,\;0^{\circ}C)$, extremely low salting very low temperature; ESVT$(5\%,\;5^{\circ}C)$, low salting very low temperature; VSVT$(10\%,\;5^{\circ}C)$ and high salting low temperature;HSLT$(30\%,\;10^{\circ}C)$ for control. Acidity was lower, and pH was higher in VSET, in of which the fermentation pattern was similar with that of HSLT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optimum acidity ($0.3\%$ lactic acid) was longer delayed for VSET (168 days), than for compared to ESVT (51 days). During storage of Oiji, greenness (-a) as measured with of the Hunter color system wasshowed the highest in VSET, and the lowest while in ESVT, the lowest. Total microbial and lactic acid bacteria counts number were the lowest in HSLT and VSET and were the lowest than in other groups, while the highest in ESVT. Yeast was not detected in HSLT, but was the highest while in VSVT. E coli coliform and listeria were detected in the $5\%$ salting groups, although Salmonella was not detected in any of the all groups. Texture profile analysis demonstrated exhibited that fracturability and hardness were highest in HSLT and VSET,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Scores of over-all preference for ESVT and HSLT were higher atwith 6.3 and 6.2,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other products. Based on these results, lower saltiness less than $10\%$ and lower storage temperature (less than $5^{\circ}C$) condition was optimum for maximizing the better for good quality of industrial Oiji preparation in industry.

저온-저염 절임기술이 절임배추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Low Temperature and Low Salt Solu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ed Chinese Cabbage)

  • 이석원;조선래;한성희;이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77-386
    • /
    • 2009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alted Chinese cabbage. Salted Chinese cabbage samples were prepar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salt(4, 5, 6 and 7%), and were stored for 10 days at three temperatures(8, 14, and $25^{\circ}C$). The salting ratio of Chinese cabbage evidenced a decreasing trend regardless of the salting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and their decrement appeared relatively high as the salt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period required to achieve a critical salting ratio(85%) decreased with increases in the salt concentration at $25^{\circ}C$, and a similar trend was observed at lower temperatures(8 and $14^{\circ}C$). The salinity of all samples evidenced an increasing trend during the salting period, and at $25^{\circ}C$, in particular, a continuous increment was observed. At salt concentrations of 4%, the critical salinity(2.2%) was not achieved regardless of the temperature and salting period. The pH of salted Chinese cabbage achieved critical pH in 3 days at a salting temperature of $25^{\circ}C$, but the critical pH 5.5 of samples at 8 and $14^{\circ}C$ appeared after a long period of approximately 4 to 10 days. The average hardness values of salted Chinese cabbage at a salting ratio of 85% were approximately 1.49 MPa, 1.87 MPa, and 1.97 MPa, respectively, at three temperatures($25^{\circ}C$, $14^{\circ}C$, and $8^{\circ}C$). The initial reducing sugar content of cabbage juice was 11.8 mg/$m{\ell}$, and this value decreased substantially to 3 to 5 mg/$m{\ell}$ on day 1.

STUDIES ON THE PREPARATION AND UTILIZATION OF HOG SMALL INTESTINE II. EFFECT OF SALTING LEVEL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MALL CASINGS

  • Lee, K.T.;Kim, H.R.;Kataoka,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7권4호
    • /
    • pp.523-526
    • /
    • 199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salting and desalting of small casings from hog and to determine the shelf-life during cold storage. The concentration of salt in the casings equilibrated with that of the added salt after 1 day for 10%, after 2 days for 20% after 7 days for 40% salting level. During desalting at 15 and $30^{\circ}C$, residual salt concentrations in the casings decreased to less than 1% after 1 hour for 10% salt, after 12 hours for 20% salt and after 24 hours for 40% salt. The total colony count of the freshly prepared casing was about log10 4.2. The initial microflora of the prepared casings was dominated by lactic acid bacteria. The higher the salting level, the greater the microbial growth was suppressed during 6 months of storage at refrigerator temperature ($4^{\circ}C$). A salt content of 20% is satisfactory if the casings are being stored for less than 1 month before being used.

가을무 품종별 깍두기 무 절임 특성 (Characteristics of Kakdugi Radish Cube by Autumn Cultivars during Salting)

  • 김미리;박한용;전병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5-31
    • /
    • 2001
  • 가을무 품종별 깍두기 무의 절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절임염수의 소금 농도(10, 15 또는 20%)를 달리하여 절임염수를 제조한 후 $2{\times}2{\times}2\;cm$로 절단한 5품종('태백', '백자', '관동', '백광' 및 '백봉')의 가을무를 2배의 절임염수에 넣어 $15^{\circ}C$에서 절이면서 절임 중 깍두기 무의 염도, 중량, 수분함량, 가용성 고형물 함량, pH 및 조직감 특성(TPA)을 알아보았다. 5품종의 깍두기 무 모두 절임 염수의 염도가 높을수록, 절임 시간이 경과될수록 염도,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중량 및 수분함량은 강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Texture Analyser에 의한 TPA값중 경도 및 파쇄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깍두기 무의 소금 농도가 3%에 달할 때까지의 절임 염수의 소금 농도에 따른 최적 절임 시간은 10% 절임 염수에서는 '태백'이 5시간, '백자'는 4시간, '관동' 및 '백봉'은 3시간, '백광'은 2시간이 적당하였으며, 15% 절임 염수에서는 '태백'이 2시간, '백자', '관동', '백봉' 및 '백광'은 1시간이 적당하였다. 절이는 동안 중량 감소율은 '백광' 및 '백봉'이 가장 컸고, '태백'이 가장 작았다. 절이는 동안 pH 감소 정도가 큰 품종은 '백광'이였고, pH 변화가 거의 없는 품종은 '백자'이었다. '태백'과 '백자'는 수분함량이 적고 가용성 고형물 함량이 많았으며 경도가 높았으며 '백광'은 수분함량이 많고 가용성 고형물 함량이 적였고 경도가 낮았으며, '관동'과 '백봉'은 '백자'과 '백광'의 중간 정도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염절임 및 Blanching시 배추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 (Changes i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Cabbage during Salting and Blanching)

  • 김주봉;유명식;조형용;최동원;변유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45-450
    • /
    • 1990
  • 배추 가공을 위한 물리적 성질의 기초 자료로서 배추줄기의 염절임과 blanching시 중량, 부피 및 밀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5% 이상의 소금 용액에 침지했을 때 배추의 중량 및 부피는 초기 4시간 동안에 급격히 감소되고 8시간 후에는 실질적으로 완료되었으며 이 때 중량감소율은 $22{\sim}27%$, 부피감소율은 $22{\sim}35%$로 중량감소에 비해 부피 감소가 더 컸다. 시료로 사용한 생배추 줄기의 평균 밀도는 0.881g/ml 였으며, 0.2M 이상의 염용액에 염절임했을 때 농도에 따른 밀도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약 15% 증가한 평균 1.02g/ml였다. 한편 생배추 시료의 공기함량은 $0.093{\sim}0.120ml/ml$ 배추였으며 염절임 4시간 동안에 급격히 구축되고 그 후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초기 공기함량의 약 25%가 잔류되었다. 생배추 줄기를 $60{\sim}90^{\circ}CE$ 범위에서 steam blanching 했을 때 중량 및 부피감소율은 각각 $3.7{\sim}7.2%,\;9.2{\sim}19.1%$였으며, 밀도는 $0.936{\sim}1,000g/ml$, 잔존공기량은 $0.056{\sim}0.022ml/ml$ 배추였다. 또한 염절임 배추의 steam blanching의 중량 및 부피변화율은 각각 8%, 10%, 정도로 부피변화율은 생배추의 1/2밖에 되지 않았다. 염절임 및 blanching의 속도는 $t/(1-R)=k_1+k_2.t$의 식으로 표현할 수 있었으며 R은 초기값에 대한 상대적 변화율, $k_1,\;k_2$는 각삭 상수이다.

  • PDF

배추의 절임공정 중 폐염수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Waste Brine from the Salting Process of Chinese Cabbage)

  • 윤혜현;전은재;성순정;김동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7-101
    • /
    • 2000
  • 김치 제조공정 중에 발생하는 고농도 염적수에 의한 환경오염방지 및 수자원과 천일염 재활용연구의 기초연구로서, 통배추와 세절배추의 절임과정 중에 발생하는 폐염수의 염도, pH, 가용성 고형물, 미생물 생균수를 측정하여 절임공정의 단계별로 비교 조사하였다. 염도는 초기염수와 절임염수에서 $14{\sim}16%$, 세척과 정후에는 $0{\sim}2%$이며 탈수액는 4%정도이고 절임공정에서 배출되는 혼합수는 $6{\sim}8%$의 염도를 나타내고 있다. 초기염수, 절임염수, 탈수액 그리고 혼합수는 절임 공정 횟수를 반복할수록 염도가 증가하였고, pH는 점점 낮아졌다.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은 혼합수가 $8^{\circ}Brix$이며 초기염수와 절임염수에서 $15^{\circ}Brix$를 넘는 높은 경향을 보였고, 절임횟수를 반복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통배추의 폐염수가 세절배추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COD는 탈수액에서 약 50 ppm, 혼합수는 초기 염수와 절임염수와 비슷한 약 40ppm의 수치를 보였고 절임횟수 간에 큰 폭의 차이를 보였으며 통배추보다 세절배추의 폐염수의 COD가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미생물 총균수는 탈수액을 제외한 폐염수에서 $4{\times}10^6$ CFU/ml이하의 수치를 나타내었고, 전체적으로 세절배추의 시료에서 통배추보다 더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