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디외와 사진 : 사진행위에 대한 부르디외의 분석이 갖는 의의와 한계

Bourdieu and Photography -A Critical Review of Bourdieu's Works in the Sociology of Photography-

  • 주형일 (영남대학교 매체정보학과)
  • 발행 : 2001.11.30

초록

사진과 사진행위에 대한 부르디외의 사회학적인 분석은 $\ll$중간예술$\gg$$\ll$구별짓기$\gg$를 통해 발표되었다. 여러 문화적 산물들 중 사진은 사회과학에서 소홀히 다루어져 왔기 때문에 사진에 대한 부르디외의 연구는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특히 $\ll$중간예술$\gg$은 거의 모든 사진 장르들을 다루면서 사회적 계급들이 사진에 대해 적용하는 규범 체계들, 사진행위의 유형들, 여러 분야의 전문 사진사들이 자신들의 직업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들과 그들이 참조하는 미학들을 분석하고 있고 최종적으로는 그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사진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분석도 시도함으로써 사진과 사진행위에 대해 체계적이고 명료하게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대단히 의미가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주요 분석 대상인 사진이 급속한 기술적 변화를 겪고 있는 매체이며 경제적이고 문화적인 요인들의 변화에 따른 위상의 변화를 보이고 있는 매체라는 점에서 부르디외의 분석은 오늘날 몇 가지 수정되어야 할 부분들을 가지게 되었다. 우선 부르디외가 강조한 사진의 사회적 기능이 무척 약화되었다. 반면에 사진의 예술적 지위는 대단히 상승했다. 이에 따라, 사진과 사진행위를 둘러싼 사회적 계급간의 관계들도 변했을 것이라 가정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계급간의 관계의 변화는 이후의 연구들을 통해 입증되어야 할 것이지만 적어도 오늘날, 부르디외가 연구를 진행했던 시기처럼 단호하게 사진을 중간예술이라고 규정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 보인다. 따라서 부르디외의 작업을 현재의 상황에 무비판적으로 적용하기 전에 그 작업을 1960년대의 프랑스라는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특수성 안에 위치시키고 사회학, 심리학, 미학, 기호학이 충돌하는 지식의 장 속에서 부르디외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연구가 갖는 특성과 한계에 대해 명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Bourdieu is one of the few social science researchers who were interested in photography. Bourdieu's work on photography appears principally in two books: Un art moyen: Essai sur les usagrs sociaux de la photographie(1965) and La distinction(1979). In these books, Bourdieu analyzes the role of photography in the family life of peasants and small town and urban dwellers. He shows how different classes and groups express their esthetic worldview in response to different photographs and photographic styles. What Bourdieu analyzed is not just photography but ways of photographing and ways of looking at pictures. Through these analyses, Bourdieu explores the social definition of photography. Bourdieu's ideas on photographic practice in social life are as follows. First, the photography, especially family photography generally practiced, has the integrative function. It recreates the group by ritualizing and solemnizing the important moments of social life in which the group reaffirms its unity. Second, the photography as esthetic practice in search of legitimacy as a fine art becomes a means by which different classes are pitted against each other. Each of classes gives its own meaning to photographic practice. Despite its originality and persuasive power, Bourdieu's work on photography has its own limits. The data used by Bourdieu are 35 years old and relevant to European social life. Things has changed since. First, the technological improvement and innovation in photography was considerable. Cheap and good photographic materials, easy to operate, made photographic practice everybody's everyday activity. New media like camcorder and digital camera made photography one of the industrial discards like jukebox. It means that photography does not function as important means of distinction between classes any longer. The integrative function of the photography becomes more ambiguous too. Second, the esthetic status of the photography has changed. The family photography was already integraed into fine art. Photography is not a middle-brow art any more. Bourdieu's work on photography shows how photography was used by different social classes in European social life of the 1960's. His work is historically and geographically limited. Moreover, his work was ordered by the french affiliate of Eastman Kodak Company. And all along the analysis, Bourdieu didn't hide his intention of distinguishing his sociological method from the other methods, especially psychological one. These mean that Bourdieu's work was done in a specific context, for specific purposes. In this respect, Bourdieu's work on photography, like every sociological work, can not claim to be universa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