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Significance of Mild Fetal Pelviectasia and The Role of Postnatal Voiding Cystourethrography

경증의 태아 신우확장이 갖는 임상적 의의와 생후 배뇨성 방광요도조영술의 역할

  • Park, So-Eun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Ewha Medical Research Center) ;
  • Kim, So-Hyun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Ewha Medical Research Center) ;
  • Yoo, Eun-Sun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Ewha Medical Research Center) ;
  • Park, Eun-Ae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Ewha Medical Research Center) ;
  • Lee, Seung-Joo (Departmen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Ewha Medical Research Center)
  • 박소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의과학연구소) ;
  • 김소현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의과학연구소) ;
  • 유은선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의과학연구소) ;
  • 박은애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의과학연구소) ;
  • 이승주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의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1.10.01

Abstract

Purpose : To evalu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antenatally detected mild fetal pelviectasia and the role of voiding cystourethrography (VCUG) Methods : From January 1999 to September 1999, 28 neonates (44 pelviectatic kidneys) with mild fetal pelviectasia (anteroposterial diameter <10 mm) were evaluated by postnatal renal sonography and voiding cystourethrography. Results : Among 44 mild pelviectatic kidneys, 29 ($65.9\%$) kidneys had no pelviectasia and 15 ($34.1\%$) kidneys had persistent mild pelviectasia on postnatal renal sonography. Four ($9.1\%$) kidneys of 3 males ($10.7\%$) without pelviectasia on postnatal renal sonography had vesicoureteral reflux (VUR) on voiding cystourethrography. Vesicoureteral reflux was not correlated with prenatal progression or regression of pelviectasia and was not correlated with postnatal pelviectasia. Conclusion : All neonate with mild fetal pelviectasia need to undergo voiding cystourethrography for early diagnosis of vesicoureteral reflux even though postnatal renal sonography shows no pelviectasia.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1 ;5 : 182-87)

목 적 : 산전 초음파상 경증의 태아 신우확장의 임상적 의의와 배뇨성 방광요도조영술의 역할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1월부터 1999년 9월까지 산전 초음파상 경증의 태아신우확장(신우전후직경 <10mm)이 발견된 28명 신생아의 44개 신장을 대상으로 하여 생후에 신장 초음파와 배뇨성 방광요도조영술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생후 초음파 검사에서 29개 신장인 $65.9\%$에서 신우확장이 정상화되었고, 15개 신장인 $34.1\%$에서 신우확장이 지속되었다. 배뇨성 방광요도조영술상 남아 3명 ($10.7\%$)의 4개 신장 ($9.1\%$)에서 방광요관역류가 발견되었다. 태아 신우확장의 산전변화인 진행성이나 퇴행성과 방광요관역류와는 상관성이 없었고 생후 신우확장의 지속여부와도 상관성이 없었다. 방광요관역류로 진단된 4개 신장의 생후 초음파 검사는 모두 정상이었다. 결 론 : 산전 초음파상 경증의 신우확장은 무시될 수 없으며 생후 초음파 검사상 신우확장이 정상화되었더라도 배뇨성 방광요도조영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