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ADIOPACITY OF ESTHETIC DENTAL MATERIALS USING IN THE PEDIATRIC DENTISTRY

소아용 심미수복재의 방사선 불투과성에 관한 연구

  • Jeong, Tae-Sung (Dep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Shin (Dep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정태성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신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1.02.28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radiopacity of esthetic dental restorative materials and determine the optimum level of radiopacity in pediatric dentistry. Disks of 8 dental restorative material groups as the experimental group, 7mm in diameter and 2mm thick, were radiographed with intact human deciduous teeth and aluminum stepwedge standard. Radiopacity was evaluated with an image analysis program following the digitization of the radiographs using a flatbed scanner with transparency unit. All materials and tooth structure also the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FP, VB, VM. For the radiopacity of esthetic restorative dental materials to exceed that of enamel, it should be greater than 1.7mm of equivalent thickness of aluminum.

현재 사용중인 소아용 심미수복재 8종(글라스 아이오노머 및 레진계)에 대한 방사선 불투과성을 치아의 법랑질 및 상아질과 비교하였다. 다양한 방사선 노출조건에 따른 알루미늄 stepwedge에 대한 표준곡선의 변이를 알아보고, 그 중 안전하고 적절한 노출 조건을 선택하여 촬영한 10종류의 소아수복용 심미 수복재에 대한 방사선 사진을 디지털화 한 다음 방사선 불투과성의 정도를 그 화상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알루미늄 두께로 환산하여 비교함으로써 상대적인 방사선 불투과성을 알아보았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심미수복재는 상아질보다 방사선 불투과상을 나타내었으며, FP, VB, VM에서는 유치 법랑질과 방사선 불투과성이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이외의 재료에서는 법랑질보다 높은 방사선 불투과상을 보였다. 금속입자가 함유된 KF 에서 방사선불투과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VM에서 방사선불투과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소아용 심미 수복재가 유치 법랑질보다 높은 방사선 불투과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동일한 알루미늄 두께인 1.7mm보다 더 두꺼워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