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속(屬) 수목의 부위별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fung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the Various Parts of the Genus Pinus Trees

  • 김종진 (건국대학교 산림환경과학과) ;
  • 한창훈 (건국대학교 산림환경과학과) ;
  • 송홍근 (건국대학교 산림환경과학과)
  • Kim, Jong-Jin (Department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Konkuk University) ;
  • Han, Chang-Hoon (Department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Konkuk University) ;
  • Song, Hong-Keun (Department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Konkuk University)
  • 발행 : 2001.11.30

초록

소나무속의 3수종,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및 잣나무의 부위별 추출물을 병원진균인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를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위 균주에 대하여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은 잣나무 수피 및 근피 EtOAc 분획분에서 나타났는데 5.0 mg/l 농도에서 각각 98.8%와 100%로 조사되었다. 한편 두 분획분의 위 균주에 대한 $ED_{50}$(median effective dose)는 각각 469 ${\mu}g/ml$및 588 ${\mu}g/ml$로 조사되어 수피 추출물이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잣나무 수피 EtOAc 분획분의 다른 병원진균 Alternaria brassicicola 및 Fusarium oxysporum에 대한 $ED_{50}$는 각각 533 ${\mu}g/ml$ 및 2,277 ${\mu}g/ml$로 나타나 이 분획분의 항균활성은 F. oxysporum보다 C. gloeosporiodes나 A. brassicicola이 더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잎 추출물의 경우를 보면, 소나무 잎 EtOAc 분획분은 C. gloeosporiodes에 대하여 5.0 mg/l 농도에서 39.6%의 활성을 보였으나 다른 두 수종의 잎 추출물에서는 추출 용액에 상관없이 거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현재 주요 항균활성 화합물들은 분리, 동정 중에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fung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various parts of three pinus species, P. densiflora, P. rigida and P. koraiensis to pathogenic fungus 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 The EtOAc fraction from the bark of P. koraiensis stem and root showed 98.8 and 100% of activity, respectively to the fungus. Median effective doses $(ED_{50})$ of above two fractions were 469 and 588 ${\mu}g/ml$, respectively in the bioassay with the fungus. $ED_{50}$ of the EtOAc fraction from the bark of P. koraiensis stem against Alternaria brassicicola and Fusarium oxysporum was 533 and 2,277 ${\mu}g/ml$,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the fraction was more sensitive to the C. gloeosporioides and A. brassicicola than the fungus F. oxysporum. The EtOAc fraction from the leaves of P. densiflord showed 39.6% of activity to C. gloeosporioides, but all the fractions from the leaves of two species showed no activity. The active compounds in the bark of P. koraiensis stem and root are being identifi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