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판 목초액의 성분조성

Compostion of Constituents of Commercial Wood Vinegar Liquor in Korea

  • 발행 : 2001.11.30

초록

국내에서 농업용으로 시판되고 있는 목초액을 dichloromethane으로 추출한 다음 추출물의 성분조성을 조사하였다. 삼나무 [Cryptomeria japonica(L. fil.) D. Don]와 참나무류(Quercus)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목초액의 추출물의 수율은 각각 5.8%와 1.8%이었다. 각각의 추출물은 산 및 알칼리 처리에 의해 산성 분획, 페놀성 분획, 중성 분획 및 염기성 분획으로 구분한 다음 GC 및 GC-MS를 사용하여 각 분획의 구성성분을 분석하였다. 산성 분획 에서는 26종의 성분을 동정하였고, 2종의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acetic acid, propionic acid 및 n-butyric acid가 주요 구성성분이었다. 페놀성 분획에서는 32종의 페놀화합물을 동정하였고, 2종의 시료에서 공통적인 주요 구성 성분은 guaiacol, 4-methylguaiacol, phenol, p-cresol, m-cresol 등이었다. 또한 참나무로 제조한 목초액의 페놀성분획에서는 syringol과 4-methylsyringol의 함유비율이 각각 8.89%, 1.72%이었으나 삼나무로 제조한 목초액에서는 두 성분의 함유비율이 각각 1.12%, 0.07%이었고, 삼나무로 제조한 목초액의 페놀성 분획에서는 vanillin(3.31%), acetovanillone(3.11) 및 GC-MS에 의해 잠정적으로 확인된 ethylvanillyl ether(7.75%)의 함유 비율이 높은 편이었으나 참나무 목초액에서 이 성분들의 함유비율은 0.1% 이하이었다. 중성 분획에서 동정된 45종의 성분 중에서 2-furfural, 5-methyl-2-furfural, 3-methyl-2-cyclopenten-1-one, 2-methyl-1-cyclopenten-1-one 등이 주요 구성성분이었고, 이외에도 furan, furfural 및 cyclopentenone 유도체들이 많이 검출되었다.

Two commercial wood vinegar liquors prepared from Cryptomeria japonica and Quercus sp., which are used as a mineral fertilizer in Korea, were extracted using dichloromethane as a solvent, respectively. The extracts were separated into acidic, phenolic, neutral and basic fraction by acid or alkali treatment, and the compositions of each fraction were analyzed by means of GC and GC-MS. A total of 103 compounds including 26 acids, 32 phenols and 45 neutral compounds were identified. The major components were acetic, propionic and n-butyric acid, representing of $41{\sim}58%$ of the acidic fraction, guaiacol, 4-methylguaiacol and phenol, repersenting of $53.2{\sim}63.9%$ of the phenolic fraction, and furfural, 3-methyl-2-cyclopenten-2-one, 2,3-dimethyl-2-cyclopenten-1-one and 5-methyl-2-furfural in the neutral fraction. In addition to these compounds, phenolic fraction in dichloromathane extract from wood vinegar liquor of C. japonica included large amounts of vanillin, acetovanillone and tentatively identified ethylvanillyl ether while that of Quercus sp. included some amounts of syringol and 4-methylsyringo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