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Fruit Flesh Pithiness Symptoms in 'Yumyeong' Peach [Prunus persica (L.) Batsc]

'유명' 복숭아의 과실 바람들이 증상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Yumyeong' peach has desirable characteristics of long shelf-life and specific non-melting nature with long harvesting period. However, some fruits harvested too late tend to show fruit pithiness symptom or internal breakdown.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fruit flesh pithiness and internal breakdown symptoms, and to find out inducing factors of flesh pithiness in 'Yumyeong' peach. The incidence of flesh pithiness was higher in the fruits harvested late. Sugar and malic acid contents were not different between normal fruits and flesh pithiness fruits, but the acidity was significantly lower affected by low citric acid content in flesh pithiness fruit. In flesh pithiness fruits, calcium contents were low in both skin and flesh. Occurrence of flesh pithiness fruits was high in the years with low precipitation and high temperature for 2 months before harvest. In observations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arts showing flesh pithiness consisted of smaller cells than the normal parts. Tonoplasts were disintegrated and the number of dead cells was high in internal breakdown fruits, while the tonoplasts were intact with contracted vacuoles in flesh pithiness fruits. Tylosises were observed in vascular tissues around the flesh pithiness,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those tylosises restricts flesh tissue development resulting in flesh pithiness. Other varieties such as 'Fantasia' and 'Wolmi' also showed tylosis and smaller cells were observed in the flesh tissue of these cultivars, indicating abnormal growth of the flesh part. These result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the occurrence of pithiness like symptoms in other peach varieties.

유명복숭아는 보구력이 매우 강한 독특한 불용질성 품종으로서, 수확기간이 긴 장점이 있으나 너무 늦게 수확하는 경우 수상에서 과실 바람들이 증상이나 내부갈변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바람들이 증상은 늦게 수확할수록 큰 과실에서 많이 발생하며 당과 말산 함량은 정상과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으나 구연산의 함량이 크게 낮아 산도가 떨어졌다. 바람들이 증상과의 과피에서는 질소, 인산, 칼륨의 함량이 높았으며 과육에서는 질소, 인산, 마그네슘의 함량이 높았으나 칼슘의 경우 과피와 과육 모두에서 낮게 나타났다. 바람들이 발생은 수확전 2개월 간의 강수량이 적고 최고온도가 높은 해에 많이 발생하여 과실비대기의 고온건조가 한 원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형태학적인 측면에서 바람들이 발생부위의 세포들은 정상부위의 세포들보다 작은 크기의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내부갈변과에서 액포막이 파괴되고 죽은 세포가 많은 것에 비하여 바람들이과는 액포막의 파괴없이 액포가 수축된 상태로 나타났다. 바람들이 발생조직 주변의 유관속 조직에서 틸로시스가 발견되어 이러한 틸로시스가 일부 과육조직의 발달을 방해하여 바람들이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판타지아'와 '월미' 등의 다른 복숭아에서도 틸로시스가 나타났으며 비정상적으로 작은 세포들의 모임이 과육에서 발견되어 과육 전체 세포들이 균일하게 생장하고 있지 못함을 보여주었다. 이는 복숭아 여러 품종에서 바람들이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을 암시하나 많은 복숭아가 연화기간이 짧아 바람들이 증상이 발견되기 어려운 것으로 추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