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of Fruit Structure and Sugar Contents during the Fruit Growth and Development in 'Yumyeong'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과실생육시기별 '유명' 복숭아의 과실조직 발달과 당 변화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Yumyeong' is one of the most popular peach varieties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developments of cells and tissues, and the changes in sugar contents during fruit growth and development. At bloom, there were two rows of vascular tissues, and the number and the position of internal vascular bundles were consistent during the fruit growth, however, the number of vascular tissues were increased and the distribution was irregular in the flesh tissues. The tissues between the inner integument and the internal vascular bundles showed different development characteristics from other parenchyma cells which were consisted of small and dense cells containing tannins. Such observation suggested that the stone of peach was consisted of inner epidermis and cells in the internal vascular tissues. The outer epidermis consisted of single layer cells at bloom differrentiated into 1-2 layers by horizontal cell divisions on 14 days after full bloom. On 30 days after full bloom, the epidermis was consisted of 5-6 layers by vertical cell divisions. The cell layers consisting the outer epidermis were gradually decreased to 1-2 layers at maturity. The observations on the changes in the epidermis confirmed that some of the cells consisting the hypodermis of peach fruit were originated from the cells of outer epidermis. Tylosis was observed from 35 days after full bloom and the size and number of tylosis were increased until full fruit maturity. The sucrose content showed the tendency of sharp increase from 50 days to 120 days after full bloom then decrease slightly. After when stone hardening ended, other solids showed a gradual decrease tendency from 80 days after full bloom.

유명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대중적인 복숭아 품종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복숭아 유명 품종의 과실 생장과 발달과정에서의 세포 및 조직의 발달과 내부물질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개화기의 유명복숭아는 2열로 형성된 유관속 조직을 가지고 있었으나 과실이 발달하는 동안 내부유관속은 일정한 수와 위치를 유지하는데 반하여 과육조직에서는 유관속조직 수가 계속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불규칙하게 분포하였다. 개화기에는 건전하게 보이는 2개의 배주를 가지고 있었으나 내주피와 외주피의 구분을 할 수가 없었으며 하나의 주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내주피와 내부유관속 사이의 세포들은 과실 발달 중에 다른 유조직 세포들과는 다른 발달 양상을 보여 타닌을 계속 함유하고 있는 작고 조밀한 세포들이 밀집하는 것으로 나타나 복숭아의 핵은 내표피를 포함하여 내부유관속 사이의 세포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만개기에 1층의 세포들로 이루어졌던 outer epidermis는 만개후 14일에는 수평방향으로의 세포분열에 의해 1~2층으로 형성되었으며 만개후 30일에는 수직방향으로의 세포분열에 의해 5~6개 층으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outer epidermis를 구성하는 세포층 수는 점차 감소하여 성숙기에는 1~2층으로 구성되었으며 epidermis의 변화를 계속적으로 관찰한 결과 복숭아 과실의 hypodermis 층을 구성하는 세포의 일부는 outer epidermis의 세포들로부터 유래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만개후 35일경부터 유관속조직에서 틸로시스가 관찰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틸로시스는 성숙기까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용성 당조성은 유과기에는 포도당과 과당이 많았다가 수확기에는 자당이 증가하였다. 자당은 만개후 50일부터 만개후 120일까지 급격하게 증가한 후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당은 경핵기가 끝난 직후인 만개후 80일 이후부터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