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원 객체기반 모델을 이용한 설계도면 및 시방서관리 시스템 구축

Development of Drawing & Specifi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3D Object-based Product Model

  • 발행 : 2000.09.01

초록

건설 프로젝트 수행에서 설계정보는 실제 건축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반영된 체계적인 모델로 구축하여 프로젝트 전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3차원 기반의 도면과 관련 문서에 대한 파일 관리 위주의 시스템은 발주자 및 설계자의 의도를 명확하게 표현하고 전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단순기능위주, 방대자료의 정리 부족, 축적된 정보와 실행정보의 공유 및 교환이 미비한 수준이다. 반면, 제반 환경의 변화와 기술의 발전 속도는 관련 사용자들이 적응하기 어려울 정도로 급변하고 있다. CAD 기술의 발전은 기존의 2차원 도면 위주에서 3차원 모델기능의 확대와 발전으로 많은 설계정보를 CAD를 통해 표현하고 기타 관련정보와 연계할 수 있는 CAD시스템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현시점에서 설계관련 모든 정보를 3차원 모델을 통해 나타내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3차원 도면 및 시방서 위주의 시스템에서 3차원 모델기반의 설계정보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기 시점에 초점을 두고 3차원 모델기반 시스템으로의 완전한 전환이 아닌 3차원과 3차원 기반 시스템의 공존을 통한 전환에 그 초점을 두고 있다. 다시 말해 2차원 도면과 3차원 모델의 통합을 통한 혼합된 형태의 2차원 및 3차원 설계정보관리시스템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객체기반 설계 및 시방서 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도면 및 시방서 정보를 통합하여 3차원 객체 기반의 설계정보로 표현하기 어려운 부분을 보완하고, 3차원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업무를 분석하고, 관리 모델을 구축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설계도면 및 시방서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In construction projects, the design information, which should contain accurate product information in a systematic way, needs to be applicable through the life-cycle of projects. However, paper-based 2D drawings and relevant documents has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and sharing the owner's and architect's intention and requirement effectively and building a corporate knowledge base through on-going projects due to Tack of interoperability between specific task or function-oriented software and handling massive information. Meanwhile, 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so rapidly that the practitioners are even hard to adapt them into the industry efficiently. 3D modeling capabilities in CAD systems are enormously developed and enables users to associate 3D models with other relevant information. However, this still requires a great deal of efforts and costs to have all the design information represented in CAD system, and the sophisticated system is difficult to manag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transition period from 2D-based design Information management to 3D-based, which means co-existence of 2D and 3D-based management. This research proposes a model of a compound system of 2D and 3D-based CAD system which presents the general design information using 3D model integrating with 2D CAD drawings for detailed design information. This research developed an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design and specification by associating 2D drawings and 3D models, where 2D drawings represents detailed design and parts that are hard to express in 3D objects. To do this, related management processes was analyzed to build an information model which in turn became the basis of the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