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 Packaging Model의 개선을 통한 공정 - 공사비 통합모델 구축

A Study on the Cost and Schedule Integration Model based on the Improvement of Work Packaging Mode

  • 발행 : 2000.12.01

초록

낙후된 국내 건설관리기술을 선진화$\cdot$합리화하기 위한 방안 중의 하나로 공정-공사비 통합관리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정부에서도 공정과 공사비의 통합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의 도입을 적극검토하고 있다 실제로 해외공사를 통해서 양성된 국내 공정관리 전문가들의 노력으로 최근 일부 공공기관의 건설사업에서는 공정-공사비 통합관리를 부분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그 기법 및 전산모델이 이론에 국한된 것이거나 국내의 특수한 여건을 수용하지 못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활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국내 건설환경에 완전하게 정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관리의 정착을 지연시키는 국내의 특수한 여건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건설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공정-공사비 통합모델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An integrated cost and schedule control is a noteworthy alternative of the separate control method which is commonly used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In Korea, some cost and schedule integration models have been applied partly by construction managers. But, these models have not been customized yet because they did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integration models analyzed through interviews with experts who have the experiences in applying cost-schedule integration models. Based on these surveys, this study suggests the strategy for the improvement of work packaging model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