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Chemical Compounds on Tuna Processing By-products

참치가공 부산물의 부위별 성분 분석

  • 강치희 (경남보건환경 연구원 식품분석과) ;
  • 정혜영 (경남대학교 생명과학부) ;
  • 이대희 (경남대학교 생명과학부) ;
  • 박재갑 (경남보건환경 연구원 식품분석과) ;
  • 하정욱 (경남대학교 생명과학부) ;
  • 이승철 (경남대학교 생명과학부) ;
  • 황용일 (경남보건환경 연구원 식품분석과)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In the process of tuna for food, the unprocessed parts of the whole fish range from 30 to 35%, which are mostly used as animal feed stuff, and wasted. Thus, preliminary study on the recycling of the by-product was done to ultimately produce highly valuable products. The study was peformed on skin, skin flesh, tail flesh, dark flesh and abdominal flesh of the tuna. First, crude protein was the most abundant in the skin at 26.31%. About 21% of the crude protein were found in the other samples. Second, crude fat was greatly obtained in the skin at 15.58%. Interestingly, only 0.75% of crude fat was found in the dark flesh. Third, vitamin C and vitamin B group were highly measured in the abdominal flesh and the dark flesh, respectively. Importantly, docosahexaenoic acid (DHA, C22 : 6 $\omega$ -3) and eicosapentaenoic acid (EPA, C22 : 6 $\omega$ -3) which are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abundant in the skin and skin flesh. To determine the effect of high temperature to the unprocessed parts, the samples were exposed to steam for 30 min. After this processing, 15-methylhexadecanoic acid (i-17 : 0) were in- creased in the skin flesh and the dark flesh. Furthermore, 3-hydroxytetradecanoic acid (3-OH 14 : 0), heptadecanoic acid (17 : 0), 2-hydroxyhexadecanoic acid (2-OH 16 : 0) and nonadecanoic acid (19 : 0) hat were not found before with steam were detected. The DHA and EPA in the dark flesh and the DHA in the skin were stable, respectively, even after the treatment.

수산물 제조를 위한 가공공정 중 발생하는 부산물 양은 전체 원료의 30~35%정도를 차지하나 일부만이 식품원료로 재 이용되고 대부분이 사료로 이용되거나 폐기물로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들 부산물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기능성 향상 및 제품화를 위 한 기초적인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먼저, 참치 가공 부산물을 어피살, 어피, 꼬리, 혈합육, 복육으로 분류하여 일반성분을 조사한 결과에서 조단백질은 26.31%로 어피에서 비교적 많았으며 나머지 부위에서는 21% 내외였다. 조지방도 어피에서 15.58%로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었으나 혈합육에서는 0.75%로 낮게 함유되어 있었다. 특수성분 중 vitamin C의 경우에 복육(175.56 mg/ kg)에서, vitamin B$_1$, B$_2$의 경우는 혈합육(4.26 mg/ kg, 3.09 mg/kg)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불포화 지방산은 어피살과 꼬리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특히, 고도 불포화지방산인 DHA(C22 : 6 $\omega$ -3)와 EPA(C22 : 6 $\omega$ -3)는 어피살과 어피에 많았다. 이들 유용 성분에 대하여 참치의 일반적인 가공처리 공정인 자숙 후 지방산 함량 변화는 어피살과 혈합육의 15-methylhexadecanoic acid(i-17 : 0)가 증가되었으며 어피에서는 3-hydroxytetra-decanoic acid (3-OH 14 : 0), heptadecanoic acid(17 : 0), 2-hydroxyhexadecanoic acid (2-OH 16 : 0), nonadeca-noic acid(19 : 0) 등이 새로이 검출되었고 혈합육은 DHA와 EPA가 변화가 적었고 어피에서는 DHA의 변화가 적었으나 EPA가 검출되지 않았고, 꼬리에서는 DHA와 EPA가 검출되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