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of lasmodiophora brassicae Causing clubroot Disease of Chinese Cabbage in Soil

배추무사마귀병균의 토양내 분포

  • 김충회 (농업과학기술원 식물병리과) ;
  • 조원대 (농업과학기술원 식물병리과) ;
  • 김홍모 (농업과학기술원 식물병리과)
  • Published : 2000.06.01

Abstract

Population density of Plasmodiophora brassicae in soil of severely infested fields of Chinese cabbage decreased as soil depth increases. More than 97% of total population was found in surface soil (0-5cm depth), and a few resting spores of the pathogen were also detected in 40 cm-deep soil. the clubroot pathogen was evenly distributed over the surface soil without clustering around a Chinese cabbage plant. Density of P. brassicae in soil at 23 Chinese cabbage fields in Pyongchang, Kangwon province ranged widely from less than 10$^4$resting spores/g soil to above 10$\^$6/ resting spores/g soil. Few or none of P. brassicae was found in virgin soil without any cropping history, intermediate with 0.36-2.75$\times$10$^4$resting spores/g soil in fields of other crops but more than 10 times higher population was found in severely infected Chinese cabbage fields. Density of P. brassicae was highest in the fields of monocropping of crucifers with some exceptions, but was low in rotated fields with corn, rye, medicinal crops or other non-host vegetables. Pathoen density in soil was decreased rapidly when rye or medicinal crops were cultivated after Chinese cabbage, suggesting that survival of clubroot pathogen appears to be influenced greatly by cropping system. The improved method for detecting resting spores of P. brassicae in soil used in this study seemed to be adequate for estimating population density of P. brassicae in soil in aspects of clearer dyeing, increased detecting sensitivity, and simplicity in preparation.

심하게 이병된 배추포장내 무사마귀병균의 수직분포를 보면 토양의 심도가 깊어질수록 무사마귀병균의 밀도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무사마귀병균의 97%가 지하 5cm 이내의 표토에 분포하였고 지하 40cm 토양에서도 소량 검출되었다. 수평분포를 보면 무사마귀병균은 배추포기중심에 모여 있다기보다는 전 포장에 골고루 분포하고 있어서 한곳에 몰려 분포하는 현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평창의 23개 배추지역의 무사마귀병균의 밀도는 1$\times$$10^4$포자/g 토양 이하의 밀도가 낮은 곳에서부터 $10^{6}$ 토양이상의 밀도가 높은 포장까지 폭넓게 분포하고 있었다. 작물을 재배하기 않은 처녀지 토양은 밀도가 $10^4$토양 이하로 극히 낮거나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심하게 이병된 배추밭의 밀도는 $10^{5}$/g 토양이상으로 대단히 높았다. 건전 배추밭과 배추 이외의 타작물을 재배하고 있는 포장내 밀도는 이보다 상당히 낮아서 심고 있는 작물에 따라서 토양내 무사마귀병균 밀도에 큰 차이가 있었다 작부체계별 밀도분포를 보면 다소 예외는 있으나 배추, 무 등의 기주작물을 연작한 곳일수록 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약초, 옥수수, 메밀, 기타 채소 등 비기주작물을 재배한 곳일수록 무사마귀병균의 밀도가 낮은 곳이 많았다. 배추, 무 등의 기주작물을 연작하면 토양내 무사마귀병균의 밀도는 점차 상승하는 경향이었고 반면에 당귀, 메밀 등 비기주작물로 윤작한 포장의 밀도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이어서 무사마귀병균의 토양내 생존은 작부체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개량형광염색방법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 토양내 휴면포자의 식별이 보다 용이해졌을 뿐만 아니라 그 검출효율도 증진되었고 조작이 간편하여 큰 숙련없이 밀도를 측정할 수 있어 향후 토양내 무사마귀병균의 동태를 연구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