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화호의 수환경 진단과 수질회복 평가

Diagnosis of Water Environment and Assessment of Water Quality Restoration in Lake Shihwa

  • Kim, Dong-Seop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Go, Seok-Gu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발행 : 2000.10.01

초록

서해안의 신도시 및 산업단지 근교에 위치한 인공 시화호에서 유입지천 부근의 상류쿠터 최하류의 수문부근까지 3~8개 지점에서 1994년~1999년에 걸쳐 수환경 오인을 매월 1~2회 조사하였다. 환경요인은 연평균 $COD_{Mn}$, 엽록소 $\alpha$, 총질소, 총인농도 및 투명도가 각각 5.2~15.1mg/L, $7.3~148.1\;\mu\textrm{g}$/L, 1.50~4.48 mgN/L, 0.055~0.281 mgP/L 및 0.5~1.4 m로서 중영양단계에서 과영양단계까지의 수질을 보였다. 시화호가 조성된 1994년부터 1997년 3월 이전까지의 수질은 외부 또는 내부의 저층으로부터 부하되는 오염물질이 지속적으로 호소내에 축적되어 극도로 악화되었다. 수질오염은 연중 식물플랑크톤이 대발생하는 생물학적 현상으로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1997년 3월부터 1999년까지는 다양한 수질개선대책의 시행으로 빠른 속도의 수질회복이 관찰되었고, 1999년의 수질은 담수화 초기의 수질로 회복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화호의 수질회복은 1997년 7월부터 시행한 해수유통에 의해 가장 큰 효과를 보였고, 1997년 3월부터 운영한 반월공단 및 시화공장의 차집수로에 의한 유입부하량 저감으로 수질회복효과를 더욱 향상시킨 것으로 평가되었다.

In order to diagnose the water environment and assess the water quality restoration, long term trend of water environment has been surveyed at 3-R stations from 1994 to 1999 in Lake Shihwa. Annual mean values of $COD_{Mn}$, Chlorophyll a, total nitrogen, total phosphorus and Secchi depth are ranged in 5.2-15.1 mg/L, 7.3-14R.1 jlg/L, 1.50-4.84 mgN/L, 0.055-0.281 mgP/L and 0.5 -1.4 m, respectively, during the study periods. Carson's trophic state indeies were varied from mesotrophy in 1994 and 1995, hyper-eutrophy in 1996 and 1997, to meso eutrophy in 199R and 1999. After dike construction, water quality were rapidly deteriorated by allochthonous and autochthonous loading of high nutrients and organic carbon. Eutrophication phenomena were characterized by massive phytoplankton blooms and high concentration of COD. However, after onset of restoration program, lake water quality was rapidly restored to the level of just after sea-dike construction. The diversion of waste water inflowing from the Panwol and the Sihwa industrial districts which was started from March, 1997 has contributed to improve water quality in the surface layer. And the tidal mixing (sea water inflowing) through the continuous gate operation was the most effective measure to the whole lake restoration.r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석구 (1996). '시화호의 수질개선대책 및 재원조달 방안', 한국물학술단체연합회 심포지움, 시화호를 어떻게 할 것인가? pp. 81-105
  2. 공동수 (1996), '시화호의 물질순환구조 및 처리대안 별 수질 시나리오 분석', 한국물학술단체연합회 심포지움, 시화호를 어떻게 할 것인가? pp. 65-76
  3. 박용철, 박준건, 한명우, 손승규, 김문구, 허성회 (1997), “시화호 산화-환원 환경하의 용존 유.무기 화합물의 생지화학적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한국해양학회, 제2권, 제2호, pp. 53-68
  4. 신재기, 김동섭, 조경제 (2000). '시화호에서 해수유입 전.후의 수환경 요인과 식물플랑크톤 동태.' 한국환경과학회지, 한국환경과학회, 제9권, 제2호, pp. 109-117
  5. 최중기, 이은희, 노재훈, 허성회 (1997). '시화호와 주변 해역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과 일차 생산력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한국해양학회, 제2권, 제2호, pp. 78-86
  6. 한국수자원공사 (1996a) 시화호 수질개선 종합관리 대책 기본계획보고서. pp. 130
  7. 한국수자원공사 (1996b). 시화호 수질현황 및 조류 제어 연구보고서. pp. 163
  8. 한국수자원공사 (1997a). 시화호 외해 연안환경영향 조사(중간보고서). pp. 466
  9. 한국수자원공사 (1997b). 시화호 수질개선대책에 따른 수질회복 추이에 관한 연구(1차년도). pp. 360
  10. 한국수자원공사 (1998) 시화호 수질개선대책에 따른 수질회복 추이에 관한 연구(2차년도). pp. 288
  11. 한국수자원공사 (1999), 시화호 수질개선대책에 따른 수질회복 추이에 관한 연구(3차년도) 인쇄중
  12. 한국수자원공사.농어촌진홍공사 (1994). 시화지구 수호 수질보전대책수립 조사보고서(1). pp. 464
  13. 한국수자원공사.농어촌진흥공사 (995). 시화지구 담수호 수질보전대책수립 조사보고서(2). pp. 641
  14. 한명우, 박용철, 허성회 (1997). '시화호에서 암모니아와 납의 저층용출.' 한국해양학회지(바다), 한국해양학회, 제2권, 제2호, pp. 69-77
  15. 허성회, 오임상 (1997). '인공호수 시화호와 주변해역의 생태계 연구 : 서문.' 한국해양학회지(바다), 한국해양학회, 제2권, 세2호, pp. 49-52
  16. 환경부 (1993), 수질오염 공정시험법. 도서출판 동화 기술, pp. 16-408
  17. 해양연구소 (1999). 시화호의 환경변화조사 및 보전 대책 수립에 관한 연구(3차년도). .pp 363
  18. APHA, AWWA, WEF (1992).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8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19. Carlson, R. E. (1977). 'A trophic state index for lakes.' Limnol. Oceanogr., Vol. 22, pp. 361-369
  20. Fukuyo, Y., H. Takano, M. Chihara, and K. Matsuoka (1990). Red-tide organisms in Japan, An illustrated taxonomic guide, Uchida Rokakuho, Tokyo, japan, pp. 430
  21. Hallegraeff, G.M. (1991). Aquaculturists' guide to harmful Australian microalgae, CSIRO Australia, pp. 112
  22. Jensen, N.G. (1984). The pennate diatoms: A translation of Hustedt's 'Die Kieselalgen, 2. Teil' published by Jensen, N.G. Strauss & Cramer GmbH, pp. 918
  23. Thomas, C.R. (1993). Marine phytoplankton: a guide to naked flagellates and coccolithophorids, Academic Press, Inc., California, pp. 263
  24. Thomas, C.R., G.R. Hasle, E.E. Syvertsen, K.A. Steidinger and K. Tangen (1995). Identifying marine diatoms and dinoflagellates, pp, 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