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질회복

Search Result 14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valuation of Water Quality Management of Estuarine Reservoir Based on Resilience Analysis Framework (회복탄력성 프레임워크 기반 담수호 수질 개선 방안 평가)

  • Hwang, Soonho;Jun, Sang Min;Kim, Seok Hyeon;Lee, Hyunji;Kwak, Jihye;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48-348
    • /
    • 2020
  • 우리나라 하구에 조성된 담수호의 수자원은 다양한 용수 목적에 맞게 활용하고 있으며, 수질 기준에 부합하는 용수를 공급하고 담수호 및 간척지의 친환경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담수호의 상류 유역 및 유입 오염물질, 그리고 담수호 수체 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기반으로 수질 오염 관리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담수호 개선을 위한 방안의 선정 방식은 연평균 수질 농도를 기준으로 목표하고자 하는 수질 기준의 만족 여부에 대한 평가와 경제적 평가를 함께 고려하여 최적의사결정 기반으로 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기존의 평가 방법에서는 목표 수질의 만족 여부가 중요하다는 점에서 담수호 수자원의 시기별 활용성에 대한 고려를 간과하기 쉽다. 또한 담수호 수자원 시스템의 수질 악화에 대한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일은 단순히 유역관리대책의 적용에 따른 수질 개선 문제와는 별도로 담수호 수자원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과 연관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평가 방식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담수호 수자원 관리 방안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활용하였으며, 각 방안에 대한 시간적 변화에 따른 담수호의 회복탄력성 특징을 고려하기 위하여 동적 회복탄력성 개념 및 평가 방법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기존의 수질 평가 방법에 따라 간월호를 대상으로 수질 개선 방안별 수질 변화를 SWAT-EFDC 연계모형을 통해 모의하고, 연평균 수질 농도와 총인 삭감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간월호의 지형학적 특성에 따라 간월호 상류 구간의 수질 농도가 다른 구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상류 구역의 경우 준설 시나리오만으로는 목표 수질을 달성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류 구역의 수질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준설 시나리오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상류 유역 출구부에 위치한 하수처리시설의 총인 배출부하량을 삭감과 추가적인 유역 수질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 PDF

Diagnosis of Water Environment and Assessment of Water Quality Restoration in Lake Shihwa (시화호의 수환경 진단과 수질회복 평가)

  • Kim, Dong-Seop;Go, Seok-G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5
    • /
    • pp.551-559
    • /
    • 2000
  • In order to diagnose the water environment and assess the water quality restoration, long term trend of water environment has been surveyed at 3-R stations from 1994 to 1999 in Lake Shihwa. Annual mean values of $COD_{Mn}$, Chlorophyll a, total nitrogen, total phosphorus and Secchi depth are ranged in 5.2-15.1 mg/L, 7.3-14R.1 jlg/L, 1.50-4.84 mgN/L, 0.055-0.281 mgP/L and 0.5 -1.4 m, respectively, during the study periods. Carson's trophic state indeies were varied from mesotrophy in 1994 and 1995, hyper-eutrophy in 1996 and 1997, to meso eutrophy in 199R and 1999. After dike construction, water quality were rapidly deteriorated by allochthonous and autochthonous loading of high nutrients and organic carbon. Eutrophication phenomena were characterized by massive phytoplankton blooms and high concentration of COD. However, after onset of restoration program, lake water quality was rapidly restored to the level of just after sea-dike construction. The diversion of waste water inflowing from the Panwol and the Sihwa industrial districts which was started from March, 1997 has contributed to improve water quality in the surface layer. And the tidal mixing (sea water inflowing) through the continuous gate operation was the most effective measure to the whole lake restoration.ration.

  • PDF

Recovery of Fish Community and Water Quality in Streams Where Fish Kills have Occurred (어류폐사의 발생 이후 하천에서 수질의 변화 및 어류상 회복)

  • Lee, Jae-Yong;Lee, Kwang-Yeol;Lee, Saeromi;Choi, Jaeseok;Lee, Seok-Jong;Jung, Sungmin;Jung, Myoung-Sook;Kim, Bomchul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6 no.2
    • /
    • pp.154-165
    • /
    • 2013
  •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fish community was studied in four streams where fish kills have previously occurred in recent years; Worun Stream, Seo Stream, Jangnam Stream, and the Anyang Stream. The number of fish species varied from 22 to 86% compared to the number of fish species pre-fish kill. The recovery of fish populations in the streams seems to be determined by water quality and the presence of artificial structures in the streams. The Jangnam Stream, where alkaline pH caused a fish kill, showed a high recovery of fish species due to improvements in water quality. Anyang Stream had a low number of species, possibly becaus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s were intermittently low. Artificial structures in streams had a negative impact the recovery of fish species, particularly for benthic fish species. It appears that fish populations can recover rapidly when water quality improves or the movement of fish community is unimpeded. However, water quality and artificial structures in many streams in Korea still present adverse conditions for fish survival, deterring the recovery of fish populations. To conserve fish populations in streams, habitat all owing unimpeded movement for fish and controls on pollutant inputs are needed.

Application and Assessment of Web GIS-based Load Duration Curve System for Determination of Best Management Practices (최적관리 기법 선정을 위한 Web GIS 기반의 오염 부하지속곡선 시스템의 적용 및 평가)

  • Kim, Jong-Gun;Park, Youn-Shik;Jang, Won-Seok;Shin, Dong-Seok;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380-1383
    • /
    • 2009
  •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TMDL)는 유역의 수질 회복 및 관리를 위해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의 여러 주에서 수립되어 적용되고 있다. 현재 미국에서는 유역 관리를 위한 TMDL의 기준설정에 있어 오염부하지속곡선(LDC)의 활용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LDC 방법은 사용자로 하여금 충분한 교육이 필요하고 LDC 생성을 위한 데이터 구축이 수동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Web GIS 기반의 LDC 시스템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웹기반의 LDC 시스템은 미국 지질 조사국(USGS)이나 한국 환경부(MOE) 서버 등을 통해 구축된 자료를 이용하여 오염부하지속곡선을 생성하기까지의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처리되어 기존 수작업에 의한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수질오염 총량 관리제도 단위유역인 낙본A와 금본C, 그리고 미국 인디애나 주의 Yellow River와 펜실베이니아 주의 Borkenstraw Creek 유역을 대상으로 웹기반 LDC 시스템을 이용하여 유역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유량 및 수질 자료는 본 시스템에서 연계된 환경부 서버와 USGS 서버를 통해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낙본 A 단위유역의 BOD 오염부하량과 농도가 대체적으로 목표수질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유량이 적을 때 다소 목표수질을 초과하고 있는 나타나, 적합한 수질관리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금본 C 단위유역의 경우 대부분 BOD 배출부하량이 할당 부하량보다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고, 목표수질 농도에 비해 배출되는 BOD 농도 또한 대체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Yellow River 유역의 경우는 유량이 많을 때 배출되는 수질농도가 목표수질을 초과하는 것으로 보아 강우시 배출되는 오염물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Borkenstraw Creek 유역의 경우 유량이 적을 때를 제외하고 대부분 구간에서 배출부하량이 할당부하량을 초과하여 이에 대한 적합한 수질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웹기반 LDC 시스템을 통해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 단위유역에 대한 수질 평가 및 특성 분석이 용이하며 수질 회복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rategies assessment for the restoration of the natural nature of the Han River through weight analysis (가중치 분석을 이용한 한강 자연성회복 추진 전략 평가)

  • Ahn, Young Mi;Jung, Tae Hwan;Jang, Suk-Hwan;Kim, Keug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2-42
    • /
    • 2021
  • 한강 자연성 회복은 사회환경을 고려한 한강의 생태적 기능회복과 복원, 자연의 복원력을 기반으로 한 사람이 공생 공존하는 새로운 관계로의 전환점을 의미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 유역권 산·학·연 관계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한강 자연성 회복 비전과 추진전략을 도출한 결과, '맑은 물이 흐르는 강'(1순위), '더불어 사는 강'(2순위), '생명이 숨쉬는 강'(3순위), '살아 움직이는 강'(4순위)으로 정책방향을 수립할 수 있었다. 또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AHP 및 델파이 분석을 통해 한강 상류, 중류(서울권, 경기권), 하류별 자연성 회복 평가지표간 가중치를 산정하여 주요 추진과제를 선정하였다. 상류유역에서는 비점오염원 관리를 통한 환경오염 감소, 중류 유역에서는 도심하천의 수질관리강화 및 물 순환 체계 개선, 하류 유역에서는 생물다양성 확보 및 상·하류 지역 협력을 통한 상수원 수질 개선의 방안 필요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강의 하천관리정책은 이수·치수 중심의 하천조성에서 하천생태복원 및 강과 사람과의 공존과 공생이 조화를 이룬 하천조성으로 관점이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가중치 평가를 통한 최적 조합의 하천 관리방안이 도출되었다.

  • PDF

생태하천으로 다시 태어나는 광주천을 꿈꾸며

  • Ju, Hyeon-Su
    • River and Culture
    • /
    • v.2 no.4
    • /
    • pp.44-50
    • /
    • 2006
  • 1990년에 광주천을 대상으로 수질조사와 조류 의 배양시험을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판정에 참여하여 연구를 한 적이 있다. 당시에 분석할 시료의 확보를 위해 냄새나는 하수천에 손을 담그는 것은 연구실에서 힘없는 맨 막내의 몫이었다. 누구나 꺼려했던 광주천이 지속적으로 노력하여 회복되고 자연형 하천을 지향하고 있다는 것은 생각만 해도 가슴이 설레고 기대되는 일이 아닐 수 없다.

  • PDF

Establishment of Basis Strategy for Health Recovery in Yeongsan River (영산강 건강성 회복을 위한 기본전략 수립)

  • Kim, Seok-Gyu;Kim, Hong-Tae;Ko, Kwang-Yong;Rhew, Doug-Hee;Jing,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44-1747
    • /
    • 2009
  • 하천의 상류부터 하류까지 통합적이고 유기적인 수질관리를 통해 모든 생명에 젖줄이 될 수 있는 하천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가용 수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건천화된 영산강의 유량을 풍부하게 하는 한편, 이상강우에 대비한 고품격 하천설계로 재해로부터 안전한 하천으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더욱 생물의 서식지를 복원하고 단절된 하천을 연계하여 BLUE-GREEN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하천의 생물다양성을 증진하여 많은 동 식물들이 활동하고 서식하는 생태적으로 건전한 하천으로 조성하는 방안과 마한 및 백제문화의 산물인 영산강 유역의 역사유적과 황금박쥐 서식처 등과 같은 환경자원을 발굴 연계하여 미래지향적인 지역문화를 재창조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래지향적 인 지역문화를 창조하고 하천의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기 위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수질개선을 위해 영산강 유역에서 가장 시급한 문제점을 발굴하고 맑고 문제점 해결을 위한 대안을 설정하여 수질모델을 이용하여 대안에 따른 수질모델을 이용하여 수질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