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tanol Separation/Concentration by Plasma Treated Pervaporation Membrane

저온 플라즈마 처리된 투과증발막의 부탄올 분리/농축 연구

  • 김현영 (경희대학교 환경.응용화학부, 기능성 고분자 신소재 연구센터) ;
  • 임군택 (경희대학교 환경.응용화학부, 기능성 고분자 신소재 연구센터) ;
  • 김성수 (경희대학교 환경.응용화학부, 기능성 고분자 신소재 연구센터)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Pervaporation membranes were fabricated by low temperature plasma treatment the concentrate butanol solution from fermentation process. Effects of power, reaction time, and monomer flow rate were examined to optimize the (W!FM)t value as 4.0389 x 109 J . min/kg. Various organic compounds were tested in plasma treatment. Contact angle and relative sorption ratio were examined in terms of membrane performance. With the increase of contact angle and relative sorption ratio separation factor was enhanced from 0.186 to 3.525. and butanol flux increased from 0.042 to 0.567 kglm2. hr. Hydrophobicity of the membrane increased the affinity with butanoL Heat of mixing for monomer with butanol was examined, but failed to find the trend, because plasma polymerization of monomer produced the new compounds much different from monomers.

생물 발효 공정에서 생산되는 부탄올 수용액으로부터 부탄올을 농축시키기 위한 투과증발 공정의 flux와 선택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온 plasma 처리 공정으로 막을 제조하였다. 플라즈마 처리 조건인 공급 power, 반응 시간, 단량체 공급 속도 등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여 (W/FM)t의 최적값이 4.0389$\times$10(sup)9 J.min/kg임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른 최적의 막 제조 공정을 확립하였다. 여러 가지 유기 화합물로서 저온 플라즈마 처리된 막에 대하여 부탄올 분리 성능을 조사하였으며, 플라즈마 처리된 막에 대하여 물과 부탄올의 상대적 sorption 비와 접촉각을 측정하여 표면 분석을 하고자 하였으며, 그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접촉각과 상대적 sorption 비가 증가함에 따라 부탄올의 선택도는 0.186에서 3.525로 향상되었고, 부탄올 질량 flux는 0.042에서 0.567 kg/$m^2$.hr로 향상됨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막의 소수서이 증가함에 따라 막과 부탄올과의 친화력이 증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용된 유기 화합물과 물 또는 부탄올과의 친화력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heat of mixing을 측정하여 분리 성능과 비교하였으나 뚜렷한 경향성을 얻지 못하였다. 이것은 플라즈마 처리 시 유기 화합물이 분해되어 새로운 화합물을 형성하게 되어 유기 화합물 본래의 특성을 잃어버리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Biotech. and Bioeng. v.43 Q. Geng;C. H. Park
  2. J. Memb. Sci. v.113 D. Roizard;R. Clement;P. Lochon;J. Kerres;G. Eigenberger
  3. Biomass and Bioenergy v.17 N. Qureshi;H. P. Blaschek
  4. Pervaporation Membrane Separation Process R. Y. M. Huang (et al.)
  5. J. Memb. Sci. v.113 D. Roizard;R. Clement;P. Lochon;J. Kerres;G. Eigenberger
  6. 한국막학회 Mcmbrame Separtion 이규현;장재화
  7. J. Memb. Sci. v.49 I. Blume;J. G. Wijmans;R. W. Baker
  8. Membrane Separations Technolog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R. D. Noble;S. A. Stern
  9. J. Memb. Sci. v.25 R. Rautenbach;R. Albrecht
  10. J. Memb. Sci. v.45 T. Hirotsu;M. Isayama
  11. J. Appl. Poly. Sci. v.46 T. Masuoka;T. Iwatsubo;K. Mizoguchi
  12. J. Memb. Sci. v.125 G. S. Luo;M. Niang;P. Schaetzel
  13. J. Memb. Sci. v.125 S. Borisov;V. S. Khotimsky;A. I. Rebrov;S. V. Rykov;D. I. Slovetsky;Yu. M. Pashunin
  14. J. Memb. Sci. v.125 C. Vaudair;H. Tarjus;P. Schaetzel
  15. J. Memb. Sci. v.22 F. Schue;G. Crassous Harjanto
  16. Polymer Surface Mod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C. M. Chan
  17. J. Memb.Sci. v.36 T. Kashiwagi;K. Okabe;K. Okita
  18. J. Memb.Sci. v.88 H. Matsuyanma;A. Kariya;M. Teramoto
  19. J. Appl. Poly. Sci. v.61 C. W. Tseng;K. R. Lee
  20. Plasma Polymerization H. Yasuda
  21. J. Memb. Sci. v.138 O. Gorbig;S. Nehlsen;J. Muller
  22. J. Memb. Sci. v.124 C. T. Wright;D. R. Pa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