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유역의 가뭄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rought Trend in Han River Basin

  • 김형수 (선문대학교 토모공학과) ;
  • 문장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김재형 (고려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중훈 (고려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발행 : 2000.08.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강 유역의 수문 시계열자료에 절단 수준법과 조건부 확률개념을 적용한 가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크리깅기법을 이용하여 산정된 조건부 확률의 유역 내 분포 경향을 알아보았다. 수문시계열자료는 일 하천 유량, 월 강수량, 일 최고기온자료를 이용하였고 자료기간은 일 하천 유량의 경우 86년부터 97년까지 총 12년 간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월 강수량과 일 최고기온의 경우에는 86년부터 99년까지 총 14년 간의 기상청 관측자료를 이용하였다. 하천 유량과 월 강수량의 경우, 절단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절단 수준에 상응하는 가뭄 표준치들은 감소하며, 일 최고기온과 같은 시계열의 경우는 절단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해당 절단 수준의 가뭄 표준치들도 함께 증가하였다. 산정된 조건부 확률은 지점과 수문학적 인자, 즉, 시계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값을 나타내고 있으나 유역 전체에 대한 대체적인 분포경향은 수문학적 인자에 관계없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강유역에서는 가뭄이 발생하여 강도가 심해질 가능성이 유역의 중하류 지역이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해당 유역에서 가뭄에 대비한 대책 수립 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drought analysis is performed by applications of truncation level method and conditional probability concept for hydrologic time series in Han river basin. The distributed trend of conditional probability is determined using kriging method for the time series. This study uses daily flowrate, monthly rainfall, and daily high temperature data sets. The daily flowrate data of 12 years(1986~1997) is used for the analysis. Also, the 14 years' data sets(1986~1999) for monthly rainfall and daily high temperatu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Weather Service of Korea are used in this study. In the cases of flowrate and rainfall data sets, the estimated value corresponding to the truncation level is decreased as the truncation level is increased but in the high temperature data, the value is increased as the truncation level is increased. The conditional probability varies according to the observations and sites. However, the distributed trend of drought is similar over the basin.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the drought is high in the middle and lower parts of Han river basin and thus it is recommended the distributed trend of drought be considered when the plan or measures for drought are established.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 한강홍수통제소, (1990). 한강홍수예경보
  2. 건설교통부 (1995). 가뭄기록조사보고서
  3. 김승, 우효섭 (1996) 항구적 가뭄대책을 위한 수자원 확보 및 이용방안 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보고서
  4. Chang, T.J., and Kleopa, X.A. (1991). 'A proposed method for drought monitoring.' Water Resources Bulletin, Vol 27, No. 2, pp. 275-281
  5. Chang, T.J., and Tech, C.B. (1995). 'Use of the Kriging method for studying characteristics of ground water droughts.' Water Resources Bulletin, Vol 31, No. 6, pp 1001-1007
  6. Delhomme, J.P. (1978). 'Kriging in hydrosciences.' Advances in Water Resources, Vol. 1., No. 5, pp. 251-266 https://doi.org/10.1016/0309-1708(78)90039-8
  7. Dracup, J.A., Lee, K.S., and Paulson, E.G. Jr. (1980) 'On the definition of drought.'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6, No 2. pp. 297-302
  8. Kitanidis, J. (1983). 'Statistical estimation of polynomial generalized covariance functions and hydrological application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9. No 4, pp. 909-921
  9. Whipple, W. Jr.(1966). 'Regional drought frequency analysis.'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Div. ASCE, Vol. 92, No. 2, pp 11-31
  10. Yevjevich, V.(1967). 'Objective approach to definitions and investigations of continental hydrologic droughts.'Hydrology Papers, Colorado State University, Fort Collins, Colora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