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ephalometric evaluation of anterior j hook headgear traction to the maxilla

Anterior j hook headgear를 이용한 상악골 성장억제에 관한 연구

  • Chung, Kyu-Rhim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 Kang, Jang-Yun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정규림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강장윤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Published : 2000.08.01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observe the effect of Anterior J hook headgear on the craniofacial structures in mixed dentition with Class II malocclusion. The laterial cephalograms of 20 children treated by Anterior J hook headgear were traced, digitiz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Forward growth of maxilla was inhibited. 2. Rotational effect of maxilla was not observed. 3. There was distal movement of maxillary dentition. 4. Maxillarly_dentoalveolar growth changes were more effective in anterior portion than posterior portion. 5. Mandible maintained a normal growth and mandibular plane angle was maintained during treatment period. 6. The ratio of anterior facial height to posterior facial height was almostly not changed.

이 연구는 악외견인장치의 하나인 Anterior J hook headgear의 상악골 성장 억제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혼합 치열기의 골격성 II급 부정교합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얻어진 측모두부 방사선규격사진이 분석되었다. 구강내 교정장치로서는 horseshoe appliance가 사용되었으며, J hook의 견인은 상악견치 중앙부에서 후상방으로 이루워졌다. Anterior J hook headgear의 적용기간은 평균 14개월이었으며 계수형 분석법에 의해 적용전후 측모두부 방사선규격사진이 분석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골의 전하방성장이 억제되었다. 2. 상악골의 회전효과는 일어나지 않았다. 3. 상악치열은 전체적으로 후방이동하였다. 4. 상악의 치아치조부 성장억제변화는 구치부보다는 전치부에서 더 뚜렷하였다. 5. 하악평면각(SN-MP)은 치료후 변화가 없었으며 하악골은 정상적인 성장을 나타냈다. 6. 전안면고경과 후안면고경 사이의 비율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