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ephalometric study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after use of oral appliance

폐쇄성 수면 무호흡 환자에 있어서 구내장치 반응성에 대한 두부 방사선적 연구

  • Kyung, Seung-hyun (Department of Orthodontics, Institute of Oral health Science Samsung Medical Center) ;
  • Park, Young-Chel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경승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치과학교실) ;
  • 박영철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Published : 2000.06.01

Abstract

It is well known that oral appliance could improve respiratory difficulty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OSA). To evaluate the effect of oral appliance, polysomnography and cephalometry were performed in OSA patients before and after oral appliance was used. Twenty four OSA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spiratory difficulty index (RDI) was obtained from polysomnography and the movement of soft palate, tongue, posterior pharygeal wall, hyoid bone, and mandible and the variables of the facial pattern were measured on the cephalogram. The changes of cephalometric parameters were compared to the RDI changes and the correlation was tested. After oral appliance was used, RDI decreased from 46.8 to 13.3.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DI improvement and the anterior movement of the mandible and superior movement of the hyoid bone. In 8 patients whose RDI was most improved, RDI improvement rate was correlated with the anterior movement of the tongue and anterior-posterior (AP) diameter of the airway at the levels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soft palate and epiglottis. These results could conclude that anterior movement of the tongue and superior movement of the hyoid bone would be favorable cephalometric parameters for the improvement of OSA.

OSA가 의심되는 환자에 대하여 수면 다원 검사를 시행하여 RDI가 5이상이고 Arousal Index가 20이상이어서 OSA로 진단된 환자 24명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구내장치에 대한 반응검사를 위한 수면검사를 다시 시행하여 장치 장착 전후의 RDI의 변화를 기록하였다. 구내장치 장착전과 후에 두장의 두부 방사선을 호기 말에서 채득하여 안모 형태에 대한 변수를 첫번째 두부 방사선상에서 측정하였고, 두 장의 두부 방사선사진을 중첩하여 연구개,후 인두벽, 혀, 설골, 상기도, 하악의 구내장치에 의한 이동을 나타내는 두부 방사선상의 변수를 측정하였다. RDI 개선도에 따라 가장 양호하게 반응하는 8명과 가장 효과가 낮게 반응하는 8명을 선택하여 두 군으로 분류하여 군 비교를 시행하였다. 군 비교를 위하여 Wilcoxon rank test를 시행 하였고 구내장치에 의한 각 변수의 차이와 RDI 개선도와의 상관관계, 안모 형태와 RDI 개선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Spearmann correlation analysis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어진 구내장치는 장착전 평균 RDI=45.8에서 장착 후 평균 RDI=13.3으로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냈고 상관 관계에 있어서 하악의 전방이동량과 설골의 상방 이동량은 구내장치 효과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치료 효과가 양호한 군에서 연구개 끝과 후두 덮개 사이 수준(level)에서 유의성 있는 혀의 전방 이동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구내장치에 의한 혀의 전방 이동은 RDI 개선도와도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구개 끝과 후두 덮개사이 수준(level)에서 상기도의 전후방 길이인 AW는 RDI 개선도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 의하면 혀의 전방 이동과 설골의 상방 이동, 상기도의 전후길이 증가등은 RDI의 양호한 개선을 나타내는 지표 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