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AL HEALTH CARE STATUS IN INSTITUTIONS AND SPECIAL SCHOOLS FOR THE DISABLED PEOPLE IN KOREA

장애인 입소시설과 특수학교의 구강건강관리 실태에 대한 조사 연구

  • Ha, Sun-Yeo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and Wonkwang Dental Research Institute) ;
  • Lee, Kwang-He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and Wonkwang Dental Research Institute) ;
  • Kim, Dae-Eop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and Wonkwang Dental Research Institute) ;
  • Park, Jong-Seok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and Wonkwang Dental Research Institute)
  • 하순영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원광치의학연구소) ;
  • 이광희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원광치의학연구소) ;
  • 김대업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원광치의학연구소) ;
  • 박종석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원광치의학연구소)
  • Published : 2000.05.31

Abstract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 care status in institutions and special schools for the disabled in Korea. Nurses in 123 institutions and nurse-teachers in 102 special schools were asked to fill questionnaires regarding periodic oral examination, preventive dental programs. and dental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56.8% of institutions implemented regular oral examinations and all of special schools did it twice a year. 2. Preventive programs for dental caries were done in 69.1% of the institutions and 86.3% of the special schools. Programs included regular toothbrushing and dental health education. 3. Dental treatment was done in 84.2% of the institutions and 39.2% of the special schools. Institutions utilized private dental clinics(60.2%), public health centers(16.8%), volunteers(15.3%), and dental hospitals. 4. 17.7% of the institutions experienced the refusal to treat the disabled by private dental clinics.

전국의 123개 장애인 입소시설과 102개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구강건강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장애인의 구강건강관리 계획을 수립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설문지 조사법으로 연구하였다. 정기구강검진은 특수학교에서 연 2회 실시하고 있었으나, 장애인 입소시설에서는 56.8%에서 시행하였다. 우식 예방 프로그램은 장애인 입소시설의 69.1%, 특수학교의 86.3%에서 시행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종류는 입소시설에서 규칙적 칫솔질이 58.1%, 특수학교에서 예방교육이 65.7%로 가장 많았다. 불소를 이용한 우식예방은 입소시설과 특수학교에서 각각 8.6%, 11.8%에서 시행하고 있었으며, 열구전색은 각각 6.8%, 6.9%에서 시행하였다. 치과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입소시설과 특수학교에서는 각각 84.2%, 39.2%이었고, 입소시설에서 치료를 받기 위해 이용하는 곳은 치과의원(60.2%), 보건소(16.8%), 자원봉사자(15.3%), 대학병원 (1.0%) 등이었다. 치료를 위해 치과의원에 방문하여 치료를 거부당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17.7%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