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과치료

Search Result 3,47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당뇨병환자의 치과시술

  • Go, Hong-Seop
    • The Monthly Diabetes
    • /
    • s.207
    • /
    • pp.14-15
    • /
    • 2007
  • 당뇨병환자의 치과시술시 가장 문제가 되는 사항은 감염에 대한 위험성 증가와 창상치유 지연이다. 대부분의 치과치료는 출혈을 일으키고 창상을 남긴다. 만약 치과치료를 예정하고 있는 환자가 당뇨병환자라면 치과의사는 보다 적극적으로 감염 가능성을 예방하거나 줄이고 창상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치과 치료계획을 세울 것이다. 그러므로 당뇨병환자가 치과치료를 받을 때 가장 중요한 사항은 환자 본인의 당뇨 병력을 상세히 치과 진료진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물론 병력은 상세할수록 좋다.

  • PDF

Dental Treatment for Handicapped Patients in Day Care Units: 2 Years' Experienc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 진료실의 외래마취 하 치과치료)

  • Park, Chang-Joo;Yum, Kwang-Won;Kim, Hyun-Jeong
    •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esiology
    • /
    • v.2 no.1 s.2
    • /
    • pp.21-26
    • /
    • 2002
  • 연구배경: 장애인의 치과치료는 일반인의 치과치료와는 달리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애인 환자의 치과치료를 위하여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서는 치과마취과를 중심으로 임상 각과가 협진하여 외래마취 기반 하에 1999년부터 장애인 진료실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 진료실의 치료방법을 소개하고 그 동안 치료받은 장애인 환자들의 자료를 바탕으로 마취과적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2년 5월까지 치료받은 총 54명의 장애인 환자들의 치료기록지와 마취, 그리고 회복실 기록지를 검토하였다. 환자의 성별, 나이, 전신질환, 수술 전 시행된 검사, 치료에 참여한 협진과, 마취 유도제와 유지제, 총 마취시간과 회복실 체류시간, 그리고 회복실에서 관찰된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총 5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58건 치과치료가 시행되었다. 한 건의 의식진정 법을 제외하고는 모두 전신마취 하에서 치과치료가 시행되었다. 마취유도제는 thiopental sodium, 근이완제는 vecuronium과 succinylcholine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마취 유지를 위해서는 enflurane과 isoflurane의 흡입마취제를 이용하거나 TCI를 이용한 propofol 지속정주를 이용하였다. 총 마취지속시간은 $160.2{\pm}55.5$분이었으며 회복실에서의 체류시간은 $132.8{\pm}50.1$분, 그리고 완전한 회복을 확인하기 위해 병동에 단기 입원시킨 소아환자에서는 $58.7{\pm}16.8$분이었다. 회복실에서 심각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지속적인 감시를 위하여 4명의 환자가 입원을 권유받았으나 특별한 합병증 없이 다음 날 퇴원하였다. 결론: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 진료실은 외래마취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보다 긴 마취시간과 회복실 체류시간을 보였다. 그러나 별다른 합병증 없이 일회 방문으로 장애인 환자들에게 필요한 치과치료를 모두 제공할 수 있었다.

  • PDF

구강암환자의 치과치료

  • Kim, Yong-Gak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24 no.7 s.206
    • /
    • pp.583-591
    • /
    • 1986
  • 근년에 이르러 암환자의 증가, 암치료성적의 호전, 그리고 암환자의 통원치료 증가등으로 암전문변원이나 암연구소의 치과의사(institutional dentist)뿐만 아니라, 일반 치과의사(non-institutional dentist)들도 암과 관련된 환자들을 접하는 기회가 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구강함환자는 구강암 자체, 혹 그 처치를 통하여 전신적으로, 혹은 국소적으로 위약된 조건을 갖게되므로 치과치료시에는 특별한 지식과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에 이해 선진국에서는 이미 치과종양학(Dental Oncology)의 임상이 활발하다. 이제 이러한 치과종양학적 입장에서 외과적 수술, 방사선요법, 그리고 화학요법을 통한 구강암 (혹은 두경부암)의 처치시에 치과의사의 역할과 치과치료의 문제점 및 그 해결책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약물을 사용하는 동통과 불안감의 조절

  • Kim, Jong-Cheol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24 no.11 s.210
    • /
    • pp.923-928
    • /
    • 1986
  • 대부분의 소아치과 환자는 그들의 불안감과 공포감에 대해서 이해를 시킨후에는 성공적으로 치료를 받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의 소아치과 환자는 이러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행동조절을 할 수 없어 치료를 하여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소아치과 환자는 주로 정상적으로 문제가 있거나 정신적, 육체적으로 장해가 있는 어린이일 수 있으며 또한 겁이 많은 어린이나, 아주 어린 학령전 아동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치과 치료전, 또는 치료중에 약물을 사용하여서 이러한 어린이들의 치과 치료에 대한 불안감과 공포감을 해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치과의사는 양질의 치료를 환자에게 하여 줄 수 있다.

  • PDF

Dental treatment of the patient with epilepsy and seizure disorders (간질 및 경련성 질환 환자의 치과치료)

  • Jeong, Tae-Sung
    • The Journal of Korea Assosiation for Disability and Oral Health
    • /
    • v.3 no.2
    • /
    • pp.69-74
    • /
    • 2007
  • 진단기술과 약물치료기법 및 신경학적 과정에 대한 이해가 발전됨으로 인하여 치과의사는 간질환자를 더 잘 이해하고 치료할 수 있게 되었다. 간질환자는 몇 가지 주의사항만 지킨다면 일반치과에서도 쉽게 치료할 수 있다. 즉, 의학적 병력과 함께 매 번 방문 시 마다 치과치료 전에 현재상태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기왕력 중 발작은 치료계획수립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치과의사는 간질이나 경련성질환에 대하여 포괄적이며 통합적 이해를 통하여 환자의 구강건강뿐 아니라 나아가 전신건강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PDF

DENTAL CARE AND THE STATE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DENTISTS FOR THE HANDICAPPED (장애인의 치과진료 현황과 치과의사의 교육 및 훈련 정도에 대한 조사연구)

  • Kim, Seon-Mi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28 no.1
    • /
    • pp.87-94
    • /
    • 2001
  • A survey was undertaken among a group of dentists working at private dental clinics to investigate the state of dental care and the level of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dental care to people with handicaps. Forty four percents of dental clinics take care of one more patients per month. The types of handicaps were physical, mental, sensory handicap and autism. The common problems ar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nd delay of treatment. Forty nine percents of dentists got education and nineteen percents had clinical experience for dental care of handicapped patients. Most of dentists felt necessity of training program and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dental hospital supported by government for the handicapped. This study indicated the necessity of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education and clinical training for dental care of handicapped patients.

  • PDF

장기적으로 안정된 예후를 위한 통합 치과치료의 원칙과 적용방법

  • Jang, Won-Geo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Esthetic Dentistry
    • /
    • v.20 no.1
    • /
    • pp.68-77
    • /
    • 2011
  • 다양한 치과 전문분야의 협진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서는 심미적인 만족뿐 아니라 기능적이며 장기적 안정을 가져올 수 있는 치료가 전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분명한 치료목표와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한 치료계획을 세우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환자와 술자 모두가 만족하는 치료결과를 갖기 위하여 어떠한 치료목표가 필요하며 그 목표를 위하여 치료계획을 세우는 방법과 그 치료과정에 대해 실제 임상증례를 통하여 각 과정을 설명하였다.

  • PDF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of Fear Factors Associated with Dental among Teenagers (청소년의 치과치료와 관련된 공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공변량 구조모형)

  • Kim, Ji-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9
    • /
    • pp.350-36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general trends in dental fear among adolescences at 15-17 years of age, differences in levels of dental fear according to relevant variables, and the degrees to which those variables influence fear of dental treatment and their causal relationships. The researcher made use of a questionnaire including tools of questionnaire survey DFS, DBS and questions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s, and then analyzed covariate structure modeling by using LISREL 8.12 after conducting univariate analysis by employing SPSS. Cronbach's reliability coefficients showed higher in DFS(0.957), DBS(0.916), and GFS(0.910). The more recent experience in pain in the oral cavity and the stronger pain when treating dental disease and the more frequent experience in pain when treating dental disease and also the more broken dental appointments, the higher levels of dental fear show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linear structure equation model was statistically appropriate and well fit. By the model, severity and frequency of pain during treatment, experience of breaking dental visit appointment, distrust for dentists and general fear were directly influenced on dental fear.

A CASE OF INTRAORAL SURGICAL TREATMENT FOR CHILDREN WITH HEMOPHILIA (Hemophilia 환아의 관혈적 치과치료에 관한 증례보고)

  • Lee, Joon-Kyun;Lee, Keung-Ho;Choi, Yeo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2 no.4
    • /
    • pp.589-594
    • /
    • 2005
  • With the progress of medical treatment techniques of bleeding control, dental care of the patient with hemophilia has become more convenient. So many surgical treatments can be performed with out-patient. 2 cases of intraoral surgical treatment of children, one with hemophilia 3, sever, the other with hemophilia A, severe. While the former was treated under general anesthesia, the latter was treated under local anaesthesia. There are principles : 1. When a patient with hemophilia need dental treatment, the dentist must consult to his physician, pediatrician, or hematologist before dental treatment. 2. When the dentist make a treatment plan, there should be consideration of the general condition, cooperation of the patient and risk of the treatment needed. 3. Minimize the number of times of coming for dental treatment so that reduce the times that need replacement therapy of coagulation factor. And during the treatment, dentist should care for infection and bleeding.

  • PDF

A STUDY OF DENTAL TREATMENT AND THE RESPONSE OF THE PARENTS OF THE DENTALLY HANDICAPPED PATIENTS TREATED UNDER OUT-PATIENT GENERAL ANESTHESIA (외래 전신마취하 치과 장애인의 치과치료 및 보호자의 반응에 관한 조사 연구)

  • Park, Dong-Suk;Choi, Byung-Jai;Kang, Jeong-Wan;Lee, Jae-Ho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0 no.1
    • /
    • pp.92-101
    • /
    • 2003
  • Under this thesis, 235 patients with dental problems treated under general anesthesia at the Pediatric Dentistry Clinic of Yonsei Dental College were surveyed and their age distribution, reasons for taking general anesthesia, duration of anesthesia, duration of dental procedure, dental treatment peformed and complications were analyzed. A questionnaire survey was also conducted to analyze degrees of anxiety and satisfaction among their parents according to the parents'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experience of general anesthesia, as well as the patients' age and past dental history. Following are the results. 1. When the patients were treated under general anesthesia, the degree of anxiety of their mothers was higher than that of their fathers.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was, the less their anxiety. 2. The higher the parents' educational level was, the high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after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95 cases (87.2%) responded that they would accept such treatment again, if needed. From the result,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causes anxiety for parent but the parent's satisfaction level was high. And that was the way gives good quality of dental service to unmanagable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