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sitivity Analysis of Input Parameters for a Dynamic Food-Chain Model DYNACON

동적섭식경로모델 DYNACON에 대한 입력변수의 민감도분석

  • Published : 2000.03.30

Abstract

The sensitivity analysis of input parameters for a dynamic food chain model DYNACON was conducted as a function of deposition date for the long-lived radionuclides $(^{137}Cs,\;^{90}Sr)$. Also, the influence of input parameters for the short and long-terms contamination of selected foodstuffs (cereals, leafy vegetables, milk) was investigated. The input parameters were sampled using the LHS technique, and their sensitivity indices represented as PRCC. The sensitivity index was strongly dependent on contamination period as well as deposition date. In case of deposition during the growing stages of plants, the input parameters associated with contamination by foliar absorption were relatively important in long-term contamination as well as short-term contamination. They were also important in short-term contamination in case of deposition during the non-growing stages. In long-term contamination, the influence of input parameters associated with foliar absorption decreased, while the influence of input parameters associated with root uptake increased. These phenomena were more remarkable in case of the deposition of non-growing stages than growing stages, and in case of $^{90}Sr$ deposition than $^{137}Cs$ deposition. In case of deposition during growing stages of pasture, the input parameters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attle such as feed-milk transfer factor and daily intake rate of cattle were relatively important in contamination of milk.

동적섭식경로모델 DYNACON에 대한 입력변수의 민감도 분석을 장반감기 핵종 $(^{137}Cs,\;^{90}Sr)$에 대해 침적시점의 함수로 평가하였다. 또한 장, 단기간 음식물 (곡류, 엽채류, 우유) 오염에 대한 입력변수의 영향이 고찰되었다. 입력변수는 LHS 기법으로 표본 추출되었으며, 민감도 지수는 PRCC로 나타냈다. 핵종과 음식물의 종류에 따른 민감도 지수는 침적시점 뿐 아니라 장, 단기간 오염에 있어서도 뚜렷이 다르게 나타났다. 작물의 성장기 침적의 경우 장, 단기간 오염 모두 잎흡수에 의한 오염 관련변수가 중요하였다. 또한 작물의 비성장기 침적의 경우 단기간 오염에 있어서도 잎흡수에 의한 오염 관련변수가 중요하였다. 장기간 오염의 경우 잎흡수에 의한 오염 관련변수의 영향은 줄고 뿌리흡수에 의한 오염 관련변수의 영향이 증가하였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작물의 성장기 침적에 비해 비성장기 침적의 경우에, $^{l37}Cs$ 침적에 비해 $^{90}Sr$ 침적의 경우에 보다 뚜렷하였다. 목초의 성장기 침적의 경우 우유로의 핵종 전달계수, 젖소의 일일 목초 섭취량과 같은 가축 특성 관련변수가 상대적으로 우유의 오염에 중요한 입력변수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