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본추출

Search Result 1,28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Optimum Selection Probabilites in Stratified Two-stage Sampling (층화 이단계 표본추출시 최적 선택율)

  • 신민웅;오상훈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4 no.2
    • /
    • pp.429-437
    • /
    • 2001
  • 단순 이단계 표본 추출의 경우에 최적 선택률은 Hansen과 Hurwitz(1949)에 의하여 구하여졌다. 그러나 통계청에서 실시하는 표본조사등은 층화 이단계 추출을 한다. 따라서 실제적인 필요성에 의하여 층화 2단계 표본 설계를 시도 하였다. 층화 이단계 표본추출시에 주어진 비용아래서 모총계의 추정량의 분산을 최소로 하는 최적의 선택확률(optimum selection probability), 표본추출율과 부차 표본추출율을 Lagrangean 승수법에 의하여 구한다.

  • PDF

Adaptive Importance Sampling Method with Response Surface Technique (응답면기법을 이용한 적응적 중요표본추출법)

  • 나경웅;김상효;이상호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1 no.4
    • /
    • pp.309-320
    • /
    • 1998
  • 중요표본추출기법중에서도 층화표본추출법을 이용한 적응적 중요표본추출기법이 일반적으로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확률장 유한요소모형문제와 같이 기본 확률변수의 규모가 큰 경우에는 층화표본추출법에서 요구되는 기본적인 표본점의 규모가 급증하여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층화표본추출에서 기본확률변수를 사용하는 대신에 기본확률변수들의 함수이며 새로운 확률변수인 응답값을 이용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여기에서 응답값은 일반적인 함수형태로 표시되지 않으며, 한 번의 응답계산에 많은 계산량이 소요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응답면식을 이용한 층화표본추출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법에서는 기본확률변수의 모의발생규모는 기본의 기본확률변수를 이용한 층화표본추출법에서 보다 증가하지만 매우 많은 계산량을 요구하는 실제응답해석규모는 응답면식을 이용함으로써 획기적으로 감소되었다. 특히 본 기법은 기본확률변수의 규모가 크고 대상한계상태의 파괴확률이 낮을수록 기존의 방법과 비교해 효율성이 증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집락 표본추출에 있어서 이-단계 표본 추출

  • 신민웅;이주영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4 no.2
    • /
    • pp.403-409
    • /
    • 1997
  • 일단-집락 추출을 할 때에 예비표본으로 부터 얻은 정보를 활용하여 추가표본을 추출한다. 특히, 예비표본의 크기(예비표본의 집락의수) $n_1$ 과 추가표본의 크기$n_2$를 모두 변수로 간주하여 베이즈 위험을 최소로 하는 $n_1$$n_2$의 크기를 결정한다.

  • PDF

A Cost Effective Reference Data Sampling Algorithm Using Fractal Analysis (프랙탈 분석을 통한 비용효과적인 기준자료추출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김창재;이병길;김용일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149-154
    • /
    • 2000
  • 분류기법을 통해 얻어진 원격탐사 자료는 사용되기 이전에 그 정확성에 관한 신뢰도 검증을 해야 한다. 분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오분류행렬(confusion matrix)을 사용하여 정확도 평가를 하게 되는데, 이때 오분류행렬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기준자료(reference data)에 대한 표본추출이 이루어져야 한다. 기준자료의 표본을 추출하는 기법간의 비교 및 표본 크기를 줄이고자 하는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난, 추출된 표본들간의 거리를 줄임으로써 정확도 평가 비용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랙탈 분석을 통하여 기준자료의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표본추출 기법과 정확도 차이 및 비용효과 측면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프랙탈 분석을 통하여 표본을 추출하는 기법은 그 정확도 추정에 있어 기존적 표본 추출 기법과 큰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며, 추출된 화소들이 가까운 거리에 군집해 있어 비용효과측면에서 보다 유리함을 확인하였다.

  • PDF

변량추출비 ${\bar{X}}$ 관리도의 통계적 효율 비교

  • Lee, Jae-Heon;Park, Chang-Sun;Jeon, S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35-140
    • /
    • 2002
  • 변량추출비 관리도는 현재의 관측값에 기초하여 다음 시점의 표본크기와 표본추출간격을 변화시키면서 공정의 변화를 탐지하는 관리도 절차이다. 만일 공정에서 추출한 현재의 관측값을 살펴볼 때 공정변화의 징후가 있는 경우에는 다음 시점의 표본추출비를 증가시켜, 즉 표본크기를 크게 하고 표본추출간격을 작게 하여 예상되는 공정변화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탐지함으로보다 효율적인 공정관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변량추출비 ${\bar{X}}$ 관리도에서 사용하는 표본크기와 표본추출간격의 수를 달리하며 각각의 경우에 대한 통계적 효율을 계산하고 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 PDF

데이터 마이닝 기법의 성과측정시 표본추출 및 표본구성비의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김광용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383-390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원화된 위험을 분류하는데 사용된 여러 가지 데이터마이닝(datamining) 기법들의 성과를 측정·비교하는데 있어서, 표본추출(sampling error)의 영향, 표본의 구성비 영향, 기존의 전통적 위험예측치의 문제점등을 살펴보고, 새로운 위험예측치를 제시하여 실증적으로 비교, 검증하는 것을 연구의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 PDF

관리적 선정 하에서 추출방법의 비교

  • 김종호;류제복;김선웅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5 no.2
    • /
    • pp.391-401
    • /
    • 1998
  • 유한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할 때 표본으로 추출되는 경우의 수를 줄이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표본들이 추출될 확률을 줄이기 위해서 관리적 선정 방법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표본추출방법들을 관리적 선정에 적용하고 예를 통해서 그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 PDF

Efficient Use of Auxiliary Information through the Stratified Sampling and Systematic Sampling Design (층화추출과 계통추출을 이용한 효율적인 보조정보 사용)

  • Kim, Gwan-Su;Park, Min-Gue
    • Survey Research
    • /
    • v.10 no.1
    • /
    • pp.155-168
    • /
    • 2009
  • As an efficient sampling design, stratified random sampling is often used when auxiliary information is available at the designing stage. Although one - per - stratum design is an efficient design that can be used when many auxiliary variables are available, it does not provide any unbiased variance estimator. With a two - per - stratum sample in which two elements are selected from each stratum, it is possible to obtain an unbiased variance estimator. However the loss of efficiency could be significant if any important stratification variable is miss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 sampling design that uses the all given auxiliary information and also permits an unbiased variance estimator suggested by Park and Fuller(2008). Through a simulation study, we compared several stratified random sampling and systematic sampling design. We also applied the proposed stratified sampling designs to 2007 youth panel data.

  • PDF

Effective Procedures of DEM Generation from National Digital Topographic Maps (국가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DEM 생성)

  • 황철수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3
    • /
    • pp.319-336
    • /
    • 199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수치지형도에서 수치고도모형(DEM)을 개발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DEM의 정확도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내삽법의 과정을 지형적 유형(평지.계곡.산지)과 공간적 표본추출법(체계적추출법.군집형무작위추출법.복합점진적표본추출법)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 보았다. RMSE의 측정을 통해 크리깅 내삽법이 지형의 기복에 산관없이 정확도를 유지함녀서 DEM을 생성할 수 있는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표본추출법에 따라 공간적 표본 밀도를 달리한 낮은 표본을 대상으로 한 경우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복합 점진적 표본추출법을 적용한 DEM의 정확도는 다른 표본추출법을 적용한 경우보다 그 정확도가 향상됨을 확인하였고, 반면에 계산상의 효율성이 다른 방법에 비해 떨어지는 단점을 보였다.

  • PDF

층화 집락추출시 $m_{opt}$의 결정

  • Sin, Dong-Yun;Sin, Min-Ung;Choe, Gi-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31-135
    • /
    • 2003
  • 표본조사를 하는 경우에 사전에 전체 표본의 크기를 정하여 놓고, 표본설계를 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에는 조사 비용은 고려의 대상이 안되고 주어진 전체표본 크기로 각 층별로 표본을 할당하여 분산을 최소로 하는 문제가 된다. 이 논문에서는 pps 집락추출과 각 집락에서 같은 크기의 부표본(subsample)을 추출하여 자체 가중이 되도록 표본설계를 하는 경우에 표본의 크기 $m_{0}$가 사전에 주어졌을 때에 모총계의 추정량의 분산을 최소로 하는 최적의 표본추출율을 구하고. 이러한 $m_{0}$값들 중에서 최적의 $m_{opt}$값을 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