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CONCRETE AND ABSTRACT THINKING OF CHILD-PSYCHIATRIC CHILDREN WITH THE DRAW-A-PERSON TEST AND KEDI-WISC SIMILARITY TEST

인물화 검사와 KEDI-WISC 공통성 소검사를 통한 소아 정신과 아동의 구체적 사고와 추상적 사고의 평가

  • Shin, Min-Sup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In-Ju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 신민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소아 청소년 정신과)) ;
  • 김인주 (서울대학병원 소아정신과)
  • Published : 1999.12.31

Abstract

Objective: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raw-A-Person test as a non-verbal indicator of concrete and abstract thinking. Method:Thirty child-psychiatric children and 27 normal children were individually assessed with Draw-A-person Test and KEDI-WISC, and the scores were compared between similarity test and DAP. Results: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clinica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DAP scores and similarity test scores, especially abstract scores on DAP were highly correlated with similarity test scores. Results indicate characteristics of abstract thinking may be more discernable on the DAP than concrete thinking in clinical group.

목 적:본 연구에서는 인물화 검사가 아동들의 구체적/추상적 사고를 평가하는 비언어적 도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방 법:임상 집단으로 서울대학 병원 소아 정신과를 방문한 아동 30명과 정상 아동 27명을 대상으로 KEDI-WISC와 인물화 검사를 실시하고 추상적 사고 능력을 평가하는 언어적 검사로써 공통성 소검사 점수와 인물화 점수들을 비교하였다 결 과:정상 아동 집단에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임상 집단에서 공통성 소검사 점수와 인물화 점수간에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특히 이들의 인물화 추상 점수와 공통성 소검사간에 매우 높은 상관을 나타낸 것을 볼 때, 인물화 검사 결과가 임상 집단에서 추상적 사고 특성들을 보다 잘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