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ly Revised Lung Cancer Staging System and Survival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새로 개정된 폐암 병기 판정에 따른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생존 분석

  • Kim, Byeong-Che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Moon, Doo-Seop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Yoon, Su-Mi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Yang, Seok-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Yoon, Ho-Y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Shin, Dong-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Park, Sung-S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Lee, Jung-H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김병철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문두섭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윤수미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양석철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윤호주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신동호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성수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정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9.09.30

Abstract

Background :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is a common tumor with a poor prognosis. Of all malignancies, it is the main cause of death for male and female patients in the Western world. Resection remain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when feasible. Accurate descrip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extent of cancer growth are important in planning treatment, estimating prognosis, evaluating end results of therapy, and exchanging information on human cancer research. Until effective systemic therapy is available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development of new treatment strategies depends on knowledge of the end results achieved for carefully staged groups of patients in the lung cancer populations. For these reasons, we investigated the survival rate in radically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by newly revised staging system adopted by the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nd the Union Internationale Contre le Cancer. Methods: Clinical, surgical-pathologic and follow-up informations on 84 consecutive, previously untreated, patients who received their primary treatment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were investigated. Staging definitions for the T(primary tumor), N(reginal lymph node), and M(distant metastasis) components were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Staging System for Lung Cancer. Death from any causes was the primary target of the evaluation. Results: The median survival rates were as follows; stage I ;79.1 months, stage II ;47.3 months, stage IIIa; 22.7 months, stage IIIb; 16.1 months, and stage IV;15.2 months versus newly revised stage Ia;58.5 months, stage I b;76.0 months, stage IIa; not available, stage IIb;43.0 months, stage IIIa;22.5 months, stage IIIb; 16.1 months, and stage IV;15.2 months. The survival r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old and newly revised staging system. Cumulative percent survival at 36months after treatment was 100% in stage Ia, 80% in stage Ib, not available in stage IIa, 26 % in stage IIb, and 21 % in stage m a respectively. Conclusions: Although these dat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the newly revised lung cancer staging system might be more promising for the accurate evaluation of the prognosis in the non-small cell lung caner patients.

배경: 비소세포폐암에서 비슷한 병기의 환자들도 생존 가망성은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보다 환자에게 효율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는 새로운 예측인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보다 정확하고 재현성이 있는 폐암 병기 판정이 환자의 치료와 예후에 가장 큰 영향을 보인다고 생각된다. 비소세포폐암의 병기 판정은 1986년 Mountain 이 표명한 T(primary tumor), N(regional lymph nodes), M(distant metastasis) 시스템과 이에 각각의 병기를 따르고 있는데 이후 같은 병기내에서도 서로 다른 예후를 보이고 보다 세분화된 병기의 구분점이 있어야겠다는 공론속에서 1996년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과 Union Internationale Contre le Cancer에 의해 새로 개정된 비소세포 폐암의 병기 판정 시스템이 천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새로운 병기판정에 따른 생존율을 알아보고 이에 따라 술전, 술후 환자의 예후에 대한 의의를 알아 보기 위해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법: 연구 방법은 1981년부터 1995년까지 한양대학교 부속병원에서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된 환자중 술전에 방사선 또는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받은 적이 없는 환자로서 치료적 목적으로 광범위 폐절제 및 림프절제술을 받은 환자중 사망여부의 추적이 가능한 총 84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술후 얻어진 조직학적 병기를 과거의 병기판정과 새로운 TNM 병기를 기준으로 이의 생존의 관찰치와 더불어 병리조직학적 특정과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결과: 환자의 median survival은 과거의 병기에 따른 결과는 stage I ; 79.1개월, stage II ; 47.3 개월, stage IIIa;22.77개월, stage IIIb; 16.1개월, stage IV;15.2개월이었고 새로운 병기에 따른 결과는 stage Ia;58.5개월, stage IIb;76.0개월, stage IIa;적용불능, stage IIIb;43.0개월, stage IIIa;22.5개월, stage IIIb;16.1개월, stage IV;15.2개월이었고 술후 36개월 뒤의 누적 백분율 생존율은 stage Ia;100%, stage Ib;80%, stage IIa; 적용불능, stage IIb;26%, stage IIIa;21%을 보였고 과거의 병기와 새로운 병기 판정에 따른 생존율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폐암은 전세계적으로 암으로 인한 사망률 원인의 1위를 보이는 암종으로 비소세포폐암에서 비슷한 병기의 환자들도 생존 가망성은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보다 정확한 생존 가망성을 예측하고 각각의 환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는 새로운 예측 측도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결과는 통계학적으로 확연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새로 개정된 폐암 병기 판정 체계는 폐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예후를 보다 세분하여 정확하게 판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되며 앞으로 보다 많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