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eisure Activity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the Life by Aged persons in a Rural Area

일부(一部) 농촌노인(農村老人)의 여가활동(餘暇活動)과 생활만족도(生活滿足度)와 관련성(關聯性)

  • Kim, Jae-Soog (Shinho Community Health Post in Koheung-gun) ;
  • Park, J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Ryu, So-Ye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Lee, Chul-Gab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eonam University) ;
  • Kim, Hak-Ryul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Kim, Yang-O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김재숙 (고흥군 신호보건진료소) ;
  • 박종 (조선의대 예방의학교실) ;
  • 류소연 (조선의대 예방의학교실) ;
  • 이철갑 (서남의대 가정의학과) ;
  • 김학렬 (조선의대 정신과학교실) ;
  • 김양옥 (조선의대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9.06.30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find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by the aged persons in a rural area. The data was obtained by interview with questionnaire and the data from 209 persons aged over 65, residing in Dohwa-myeon and Podu-myeon, Koheung-kun, Chollanam-do were analysed.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Feb. 16th to May 3rd in 1998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urvey showed that the major leisure activities were TV watching followed by talking with friends, club activities, taking a walk, visiting friends' or relatives' home and breeding domestic animals. 2. The types of leisure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8 patterns as active self-enlightenment, passive self-enlightenment, temporal amusements, passive self-activities, cozy introspective activities, friend oriented activities, family oriented activities and religious activities. Among the above 8 patterns active self-enlightenment type contributed most to the life satisfaction. 3. The major factors affecting leisure activities were sex, age, average income, religion and educational status. And the major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were sex, age average income, educational status and a state of health. In conclusion the more the aged persons participated in leisure activities, the better they felt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농촌 노인의 여가활동 실태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 이들이 참여하는 여가활동은 몇 가지로 분류되며, 여가 활동 참여도와 생활만족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밝히기 위해 고흥군 도화면과 포두면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인구 220명을 대상으로 1998년 2월 16일부터 3월 3일까지 직접 면접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 내용에 있어서 가장 많이 참여하는 여가활동은 TV 시청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친구들과 대화, 노인모임 활동, 걷기 및 산책, 친구 및 친척집 방문, 동물기르기 등의 순이었다. 둘째,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은 적극적 자기 개발 활동, 소극적 자기개발 활동, 투기성 활동, 폐쇄형 활동, 안락한 고독활동, 우인중심 활동, 가족중심 활동, 종교활동의 8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노인들의 여가활동은 성, 연령, 월평균 수입, 교육수준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었고(P<0.05), 생활만족도와는 성, 연령, 월평균 수입, 교육수준, 건강상태 등이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넷째,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건강상태, 성, 월평균 수입, 여가활동, 의료보장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P<0.05) 따라서 노인의 삶의 질은 향상시키기 위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에 가장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만족스러운 노후생활을 위해서는 건강상태를 증진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규칙적인 생활 체육을 장려하고, 노인전문 병원을 제도화 시키며, 가정 간호사업을 효율적으로 활성화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둘째, 월 평균 수입이 많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소득 보장인 연금제도의 정착이 매우 중요한 문제임을 암시해 준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보호 대상자가 의료보험 대상자보다 생활만족도가 높았음을 볼 때, 규칙적이고 예측 가능한 수입은 생활만족도의 중요한 요인임을 유추 해석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경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으로 노인들의 역할을 부여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 역할로는 장 담그기, 아기 돌보기, 김치감기, 봉투 만들기 등이 있을 수 있다. 끝으로 여가활동 참여를 많이 할수록 생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를 위해 지역 주민과 더불어 노인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복지센터를 설치하여야 한다고 본다. 또한 활용 가능한 인적, 물적 자원을 최대한 동원하여 여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발전시켜 나감으로써 노인의 적극적인 여가 활동 참여를 유도해 나가야 한다고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