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Family Support Degree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a Rural Area

일부(一部) 농촌노인(農村老人)이 지각한 가족지지(家族支持)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影響)

  • Kim, Mi-Suk (Changnyung Community Health Post in Sunchun city) ;
  • Kim, Ki-S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Park, J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Cho, Yong-Rae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Kim, Yang-O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김미숙 (순천시 창녕보건진료소) ;
  • 김기순 (조선의대 예방의학교실) ;
  • 박종 (조선의대 예방의학교실) ;
  • 조용래 (조선의대 정신과학교실) ;
  • 김양옥 (조선의대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9.06.30

Abstract

To find the influence of family support degree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a rural area, a questionnaire survey was made toward 163 persons who were more than 65 years old and living in a township at Chollanamdo province from January 1st to February 20th, 1998.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1. By simple analysis significantly associated variables with depression score were residence, adequacy of pocket money, health consciousness, drinking alcohol, smoking, score of activity of daily living(ADL), score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and degree of family support among female respondents(p<0.05). 2. To find the influence of family support on the depression score excluding other associated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and it was found that family support was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affective, somatic, psychomotor and psychological domain of depression score among male, and somatic, psychomotor and psychological domain among female(p<0.05). The above finding suggest that family support degree is an important factor to be associated with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the rural area. So to deal with the depression of rural elderly, how to make close relation among family members must be considered.

일부 농촌 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가족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전라남도 1개 면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인 구 163명을 대상으로 1998년 1월 1일부터 2월 20일까지 직접 면접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순분석에서 우울 정도와 관련이 있는 변수는 남자에서 주거상태, 용돈정도, 건강인식, 음주, 흡연, 신체적 수단적 활동장애 유무, 가족지지도 수준 등 이였으며 여자에서는 연령, 용돈정도, 건강인식, 흡연, 신체적 수단적 활동장애 유무, 가족지지도 수준 등이었다(p<0.05). 2. 가족지지도가 증상 영역별 우울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가족지지 정도 이외의 우울 정도와 관련되는 제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다중 회기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자의 정동증상, 신체증상, 정신운동증상, 심리적 증상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여자에서는 신체증상, 정신운동증상, 심리적 증상에서 통계적요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농촌 노인에 있어서 가족 지지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농촌지역 노인의 우울 문제를 접근함에 있어서 가족간의 관계를 친밀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