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iterature Rearches on "Dam-eum(痰飮)", resulted in Stroke

중풍(中風)의 담인설(痰因說)에 대한 고찰(考察)

  • Jeong, Wan-woo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 ;
  • Lee, Won-Chul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
  • 정완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원철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9.08.31

Abstract

"Dan-eum(痰飮)" is the pathological product which is developed in the progress of disease. "Dam-eum" itself can be an etiological factor and id developed as consequential products on diseases. This study is investigated into "Dam-eum" and stroke through the literature since the book, "Hwangje-naekyong(黃帝內經)"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Dam-em" is the pathological product, which is changed into "Yol-Dam(熱痰)", "Pung-dam(風痰)" and "Seub-dam(濕痰)", owing to the disorders of diet and "Chil-jung(七情)", infirmity of "Jung-ki(精氣)", "Oi-gam-yuk-em(外感六淫)", constitutional factors and so forth. In is blocked up "Jangbu-Kyongrak(臟腑經絡)" and brings about stroke with the disorders in circulation of "Gi-hyul(氣血)". 2. "Dan-em" is formed out of "Jin-aek(津液)", which is changed through the pathological process of "Gi-cheh(氣體)", "Hwa-yoi(化鬱)" and "Han-eng(寒凝)". In the meanwhile, the brain keeps its function with nutrition of "Jin-aek", If "Dam-eum" is formed by deficiency and circulation disorders of "Jin-aek", it can affect the brain 3. "Dam-eum" is correlated with "Eo-hyul(瘀血)", and the pathological transformations. In the attack of stroke. "Dam-eum" precedes "Eo-hyul", in reverse or the two are concurrent with each other.

담음(痰飮)은 질병(疾病)의 경과중에 발생되는 병리적(病理的)인 산물(産物)로, 담음(痰飮) 자체가 질병(疾病)의 원인(原因)이 될 수 있으며, 질병(疾病)의 결과물로 생길수도 있다. 저자는 <내경(內經)> 이후의 역대(歷代) 문헌(文獻) 고찰(考察)을 통해 담음(痰飮)이 중풍(中風)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과, 아울러 담음(痰飮)과 진액(津液)의 관계, 진액(津液)과 뇌(腦)의 관계, 담음(痰飮)과 어혈(瘀血)의 관계 등을 연구하였다. 담음(痰飮)은 칠정(七情)의 부조(不調), 정기휴손(精氣虧損), 음식실조(飮食失調), 외감육음(外感六淫), 체질적(體質的) 소인(素因)등의 인자(因子)로 인해 발생되어 열담(熱痰), 풍담(風痰), 습담(濕痰)으로 화(化)하고 장부(臟腑) 경락(經絡)에 울체(鬱滯)하여 기혈(氣血)의 순환을 막아 중풍(中風)을 유발하게 된다. 한편 담음(痰飮)은 진액(津液)으로부터 형성되고, 진액(津液)은 기체(氣滯), 화울(火鬱), 한응(寒凝)의 병리과정(病理過程)을 통하여 담음(痰飮)으로 전화(轉化)되며, 뇌(腦)는 진액(津液)의 자윤(滋潤)과 충양(充養)에 의해 그 기능을 유지한다. 따라서 진액(津液)이 담음(痰飮)으로 전화(轉化)되어 기혈운행(氣血運行)을 막으면 뇌(腦)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담음(痰飮)과 어혈(瘀血)의 관계를 보면 담음(痰飮)은 어혈(瘀血)과 병리변화(病理變化)에 있어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중풍발생(中風發生)에 있어서 담음(痰飮)이 어혈(瘀血)에 선행(先行)하거나, 어혈(瘀血)이 먼저 형성된 후에 담음(痰飮)이 형성되거나, 혹은 서로 겸(兼)하여 발생할 수도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