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안면영역에서의 경피성 신경자극과 전기침자극요법이 전류인지역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and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Therapy on the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of Orofacial Region

  • 정진우 (강릉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진단학 교실)
  • Chung, Jin-Woo (Department of Oral Medicine and Diagnosis, College of Dentistry,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9.09.30

초록

구강안면동통 환자의 치료법으로 널리 쓰이는 전기요법은 연조직과 신경계 구조물에 대한 치료 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저자는 현재 구강안면동통의 치료법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전기요법들 중 경피성 신경자극(Transcutaneous electric nerve stimulation)과 전기침자극요법(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therapy)이 각각의 신경섬유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정상 성인 남녀 29명에게 경피성 신경자극 및 전기침자극을 시행하고 시행 전 및 시행 후 삼차신경 영역의 3가지 종류($A{\beta}$, $A{\delta}$, C fiber)의 신경섬유의 전류인지역치(CPT) 변화를 측정하여 그 차이점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경피성 신경자극 및 전기침자극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삼차신경 영역의 모든 신경섬유에 걸쳐 고른 전류인지역치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경피성 신경자극과 전기침자극 후의 전류인지역치 변화량은 서로 유의할만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경피성 신경자극 과 전기침자극 모두 3가지 종류($A{\beta}$, $A{\delta}$, C fiber)의 감각신경섬유의 전류인지역치에 영향을 미치며, 구강안면동통의 감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