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력레이저 조사가 측두하악장애환자의 압력통각역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ow Level Laser Therapy on Pressure Pain Threshold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A Double-blind Study

  • 조경아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 교실) ;
  • 박준상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 교실) ;
  • 고명연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 교실)
  • Cho, Kyung-Ah (Department of Oral Medicine,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Park, June-Sang (Department of Oral Medicine,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o, Myung-Yun (Department of Oral Medicine,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9.09.30

초록

측두하악장애환자와 정상대조군의 두경부 근육에 있어서 실제 또는 위약 치료에 따른 저출력 레이저의 효과와 측두하악장애환자에서 저출력 레이저의 효과적인 치료기간을 평가하기 위하여, 측두하악장애를 가진 부산대학교 치과대학생 19명과 측두하악장애의 병력이나 증상이 없는 부산대학교 치과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치료전, 치료 2주 및 치료 4주에 구외촉진이 가능한 32 근골격 촉진점의 압력통각역치와 각각의 동통정도와 두개하악지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갈은 결론을 얻었다, 1. 치료전 환자군의 압력통각역치는 정상대조군 압력통각역치보다 낮았다(p<0.05), 2. 환자군의 압력통각역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p<0.05) 레이저 조사 환자군의 증가된 압력통각역치는 레이저 모의조사-환자군의 증가된 압력통각역치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3. 대조군에서는 레이저 조사나 모의 조사에 의해 압력통각역치와 변화가 없었다. 4. 레이저 조사-환자군의 압력통각역치가 안면근육에서는 치료2주부터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경부근육에서는 치료4주부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5. 레이저 조사-환자군에서 동통의 정도와 두개하악지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