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inalysis and Imaging Studies in Children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소아 요로감염증으로 진단된 환아에서 요분석 검사와 신영상 검사

  • Kim Il-Kyung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Adventist Hospital) ;
  • Seong Ho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Adventist Hospital) ;
  • Choi Chang-Hee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Adventist Hospital) ;
  • Kim Kyong-Il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Adventist Hospital)
  • 김일경 (서울위생병원 소아과) ;
  • 성호 (서울위생병원 소아과) ;
  • 최창희 (서울위생병원 소아과) ;
  • 김경일 (서울위생병원 소아과)
  • Published : 1999.10.01

Abstract

Purpose : We studied the correlation between urinalysis and radiologic findings in infants and children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Method : Urine Dipstick test and unstained urine microscopic examination were carried out in 56 infants and children who were hospitallized with the diagnosis of urinary infection by pocitive urine culture at Seoul Adventist from September 1996 through August 1998. Urine was collected by midsream, catheter, urine bag after cleansing or bladder puncture. Renal sonography and $^{99m}Tc-DMSA$ renal scan or voiding cystoureterography were studied. Results : 1)In dipstick analysis, leukocyte esterase(LE) were positive in 30 cases of 56 patients(54%) and Nitrite were positive in 20 cases of 56 patients(36%) and LE or Nitrite were positive in 38 cases of 56 children with UTI(68%). 2)In microscopic analysis, WBC were positive in 38 cases of patients(68%) and bacteria were positive in 23 cases of 56 patients(41%) and WBC or bacteria were positive in 41 cases of 56 children with UTI(71%). 3)Ten cases of 56 UTI patients(18%) showed negative finding in Dipstick and microscopic analysis. 4)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ve rate of dipstick(71% vs 66%) and microscopia analysis(83% vs 66%) between two group with or without renal scar on $^{99m}Tc-DMSA$ scan (P=0.117). 5)There was no significnt difference in positive rate of dipstick(100% vs 91%) and microscopic analysis(100% vs 100%) between two groups with or without vesicoureteral reflux on VCUG. Conclusion : There was no specific relationships between the abnormal urinalysis and the abnormal findings on $^{99m}Tc-DMSA$ scan or VCUG.

목적 : 발열을 동반한 소아요로 감염 환아에서 조기진단과 신속한 치료는 신손상을 예방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요분석은 성인 요로 감염의 선별검사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소아에서는 연령에 따라 상반된 보고도 있다. 이에 저자들은 발열을 주소로 내원하여 뇨 배양검사상 요로감염증으로 진단된 환아를 대상으로 요분석과 신영상 소견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 1996년 9월부터 1998년 8월가지 서울위생병원 소아과에 발열을 주소로 입원한 소아 환아에서 무균 채취 주머니, 중간뇨, 방관 요관 카테터법 및 방광 천자에 의한 요배양 검사에 의해 요로 감염으로 확진된 56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Dipstick 요분석(Leukocyte esterase, nitrite)과 요침사 검사(농뇨 및 Gram 염색하지 않은 현미경상 세균관찰)와 신영상 검사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 Dipstick 요분석상 요로감염 환아의 Leukocyte esterase(LE)양성율은 54%(30/56), Nitrite 양성율은 36%(20/56), LE 또는 Nitrite 양성율은 68%(38/56)로 관찰되었다. 요침사 검사상 요로감염 환아의 백혈구 양성율은 68%(38/56), 세균양성율은41%(23/56), 백혈구 또는 세균 양성율은 73%(41/56)로 관찰되었다. 요로감염 환아에서 Dipstick 요분석과 요침사 검사에서 모두 음성을 보였던 경우는 18%(10/56)였다. DMSA 신주사에서 신반흔을 보인 24례(43%)의 요로감염 환아 중 Dipstick 요분석상 양성율은 71%(17/24), 요침사 검사상 양성율은 83%(20/24)였으며 신 주사에서 정상소견을 보인 32례(57%)의 요로감염 환아 중 Dipstick 요분석상 양성율은 66%(21/32), 요침사 검사석상 양성율은 66%(21/32)로 신반흔을 보인 군에서 요침사 검사상 양성율이 높게 나왔지만 통계학적으로 의미있지는 않았다(P=0.117). 배뇨중 방광 요도 조영술을 시행한 18례의 요로감염 환아 중 7례에서 요관 역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요관 역류를 보인 군과 요관 역류를 보이지 않은 군에서 요분석상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요로감염 소아에서 신 반흔 및 방광 요관 역류와 요분석의 관계는 신반흔이 있었던 경우 요침사 검사가 약간 높게 나왔지만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Keywords